기본 분석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24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Fundamental Analysis

In online trading we should estimate short opportunities of the price movement and decide to trade online. Using the technical analysis we can see the signals showing a possible price direction after reaching any important levels – strength or indicator levels. But technical analysis does not guarantee a foreseen movement after the price has broken one of the levels. So the fundamental analysis helps us to understand where the price will move after reaching a key level.

The Fundamental analysis is an estimation of a current economic situation in the company (for stock trading) or country (for currency trading) using statistical data. Simply said when economic indicators of the country and income of the company grow the currency and stocks become more attractive for investors as their prices increase too. So we see the following regularity: the country’s economy grows => the currency rate grows; the company’s income grows => its stock rate grows too. So any improvement causes the asset growth and any drop causes a reverse effect. Except the 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country’s economy there are political factors having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 For example, the radical government takes power and quarrels with the whole world reducing the confidence to the country and increasing risks of the international companies.

These companies start closing their projects and it leads to the economic decline reducing the tax revenue to the government budget and increasing unemployment. All these events cause a panic among investors who start to buy foreign currency trying to save their money. Such actions lead to reduction of the national currency rate. Also the aggressive politics of the government affects the national companies cooperating with foreigners reducing their stock rates. If you understand this logic you can foresee the further price movement in the world markets.

We can estimate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of the country according to macroeconomic performance in the different economic sectors. These sectors are:

1) Public sector - a budget, interstate payment balance and GDP;

2) Financial sector - a basic rate of Central Bank and finance volumes;

3) Industry – a production output and labor efficiency;

4) Employment – unemployment rates, number of workplaces, salaries;

6) Trade – retail and wholesale sales;

7) Efficiency and consumer confidence

All these indexes are calculated by State Statistics Services and published on their official websites. Besides many information agencies and financial companies put these data in one table and publish on their websites simplifying the investors’ life. Such table is called the economic calendar. In the economic calendar everyone can see the rates to be published at any date important for investors or traders or find the average forecasted rate given by some analytical agencies. It looks as follows:

29.04.2015 11 Am EST USA GDP in the first quarter 0,1% -> 0,2% -> __

Where 29.04.2015 11 Am EST is the date and local time of publication (time zone can usually be your local);

USA is the country of the index to be published;

0,1% is the change of USA GDP in previous quarter (4th quarter of 2014);

0,2% is the expected rate in the first quarter of 2015;

__ is an actual GDP index in the first quarter of 2015 to be specified after it appears on the official website.

How does the economic calendar help us? There is a trading rule in Trading: “Buy the rumour sell the fact”. All the market majors trade under this rule. The idea of this rule is when the market expects good rates for any country and a positive influence on its economy all participants try to buy its currency at a lower price before their expectations are confirmed. As you know the key factor of a trader’s profit is a formula: “Buy low and sell higher” and as the price can continue growing all traders try to buy at a lower price in advance. The same situation with our news about USA GDP: the analytics are waiting for its index growth and if GDP grows the economy grows too so if you invest to it you can make a profit. Everyone will buy US dollar and if the demand rate increases the good price increases as well.

As the players with deposits having no influence on the market we can use these expectations and trade online for eur/usd before the news are published. While we are waiting for the news we are making a profit. And it is not important if the analytical expectations are satisfied or not because we will gain a profit before actual index publication.

Using the fundamental and technical analyses together we can easy foresee the price movement for the nearest 1-2 hours between the key levels we found. In case that we're trading for a short time period we will be able to open many deals during some hours and have a good profit!

[공정분석의 기본분석] 공정개선과 기본분석의 개념(정의,목적,특징,체계)과 기본분석 추진방법 및 공정개선

1. 공정분할
1) 공정의 정의
2) 공정의 분류
(1) 가공공정
(2) 운반공정
(3) 검사공정
(4) 정체와 저장공정
2. 기본분석 실시방법
1) 분석의 순서
(1) 예비분석(생산형태, 제품특징의 파악, 조사방법의 재확인)
(2) 기본분석
(3) 조사결과 검토
(4) 총괄표 작성
2) 분석의 내용
(1) 제품, 재료, 단위 완성품에 대해
(2) 공정계열과 그 내용에 대해
3) 분석의 요점
3. 세밀 공정분석
1) 가공공정분석
2) 조립공정분석
4. 단순 공정분석

1. 공정개선의 목적
1) 코스트 절감
2) 생산성 향상
3) 재료손상 감소와 품질유지
4) 재공품 감소(일정, 납기)
5) 공간의 효율적 이용 기본 분석
6) 안전 및 환경조건 향상
2. 공정개선 원칙
1) 공정수 감축
2) 공정조합 변경
3) 제품, 설비, 작업내용의 최적화
4) 운반량과 횟수의 감소
5) 검사공정 위치 최적화에 따른 품질향상과 검사공정 감소
6) 정체의 양과 횟수, 시간의 감소

본문내용 공정분석의 기본분석

공정분석의 목적은 (1) 생산기간의 단축, (2) 재공품의 절감, (3) 생산공정의 개선, (4) 레이아웃 개선, (5)공정관리 시스템의 개선 등에 기여하는데 있다.

․ 공정이란 분석단위로
․ 대상물(재료, 반제품, 제품, 부자재 등)이
․ 어떤 경로로 처리되었는지를 발생된 순서에 따라 가공, 운반, 검사, 정체, 저장의 5가지로 분류하고
․ 각 공정의 조건 (가공조건, 경과시간, 이동거리 등)

과 함께 분석하는 현상분석 수법의 하나이다.

공정분석에서 공정의 순서, 물자의 흐름 전체를 파악하는 분석을 공정 기본분석이라고 한다.

기본분석은
세밀 공정분석(세밀 가공공정분석, 세밀 조립공정분석)
단순 공정분석(단순 가공공정분석, 단순 조립공정분석)

기본분석에서
․ 생산방법(공정, 공정순서)의 개선이나 흐름작업 편성의 자료를 만드는 경우, 세밀한 조사 항목까지 조사하는 분석이 세밀 공정분석이다.
․ 이들에 대해 제품 전체로서 공정계열과 상호관계를 표시하고 전체적인 생산방법(공정순서 중심)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이 단순공정 분석이다.

비트코인 및 주식시장의 두 가지 분석방법

주식에 관한 사고의 힘과 방향을 키우기 위한 방법이 2가지가 있는 데 하나는 기본적 분석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기술적 분석 방법이다. 먼저 전자(前者)를 소개하고 나중에 후자(候者)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챠트 분석은 기술적 분석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1. 기본적 분석 방법의 정의
  2. 주가와 내재가치(본질가치)의 관계
  3. 주가의 변동원인과 분석절차
  4. 질적 분석 / 양적 분석
  5. 기본적 분석할 때 주로 사용하는 지표
  6. 특징 및 장점과 단점(한계점)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 基本的分析) 방법〕

기본적 분석을 완벽하게 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실전에 대한 사고능력을 키우는 차원에서 개괄적으로 기술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하나씩 설명이 될 것입니다.

전통적인 증권분석 방법으로 주식의 내재적 가치 즉 주식이 화체(化體)하고 있는 회사의 본질가치를 분석하여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2. 주가와 내재가치(본질가치)와의 관계 : 매입 / 매도

주식의 내재적 가치는 그 주식을 발행한 기업의 재무요인과 경제요인에 따라 결정되며,기본 분석

이러한 요인들과 주식의 내재적 가치와의 관계를 찾아내어 예상한 내재적 가치와 그 주식의 시장가격을 비교하여 투자결정을 하게 된다.

이때 현재의 주가가 내재적 가치를 상회하면 상대적으로 고평가되어 있으므로 매각하고, 내재적 가치에 미치지 못하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으므로 매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3. 주가의 변동원인과 분석절차

3-1. 주가변동의 요인

주가변동의 요인은 복잡하고 많지만 기업 외적요인(정부정책 등)과 내적요인(증자등)으로 구분하고,

3-2. 분석절차

분석절차는 '경제분석 → 산업분석 → 기업분석'의 과정을 밟아 당해 기업의 이익을 추정하고 평가하여 투자하게 된다.

즉, 거시적 관점에서 경기, 금리, 통화 등의 경제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주가흐름을 판단하고, 산업분석에서는 산업별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투자 유망업종을 선정한다.

그리고 기업분석에서는 경제 및 산업분석을 토대로 개별기업의 미래 수익성을 예측하고 기업의 내재적 가치를 추정함으로써 투자 유망종목을 선택하게 된다.

4. 질적 분석 / 양적 분석

기본적 분석은 크게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으로 구분되는데,

4-1. 질적 분석

정치상황, 경기, 산업동향, 노사문제, 경제정책, 기업의 성장성, 경영능력 등 계량화가 불가능한 사항을 분석하는 방법이고,

4-2. 양적 분석

주식투자와 관련된 수치적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는 것으로 각종 경제지표, 산업지표, 재무제표 등 계량화가 가능한 사항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5. 기본적 분석할 때 주로 사용하는 지표

  • 활동성 분석 지표 : 자본 순이익률, 매출 순이익률, 주당 영업이익률, 자본 영업이익률
  • 유동성(재무건전성) 분석 지표 : 유동자산비율, 고정자산비율, 당좌자산비율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의 주가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순자산비율(PBR), 주당순이익(EPS) 개념 등을 만들었습니다.

기본 분석

프로필 이미지

기본 스크립트만으로 다양하게 분석해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소규모로 커머스 사이트를 운영하고 계시는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판매하는 상품을 사이트에 직접 등록하고, 구매자 문의에 응대하고 마케팅까지 진행하신다면 사이트의 데이터를 쌓고 분석까지 한다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데요. 그래서 혹시 아래의 고민을 가지고 있다면, 다이티가 쉽게 해결해 드릴게요😊

오늘은 기본 스크립트만으로도 볼 수 있는 꿀 데이터 TOP5 를 소개합니다.

1. 현재 접속중인 방문자

에이스카운터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지표입니다. 특히 소규모 비즈니스일수록 방문자가 어떻게 유입해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궁금한 분들이 많으신데요, 별도의 설정 없어도 아래와 같이 방문 시간, 유입 출처, 랜딩 페이지, 페이지 뷰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객이 첫 방문인지 재방문인지, 얼마 만에 방문한 건지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광고를 시작했거나 대량 메시지를 보냈을 경우, 어느 정도 많은 유입을 가져왔는지 실시간으로 볼 수 있고요. 유입 출처나 랜딩 페이지가 잘못 세팅되지는 않았는지 초기에 확인하기에도 용이한 지표입니다.

※ 에이스카운터 > 방문자 > 현재 접속중인 방문자 화면

2. 신규 방문 / 재방문

신규 방문과 재방문 수와 비율을 비교하는 것은 커머스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꼭 알고 있어야 할 지표입니다. 새로운 고객을 만들기 위해서는 신규 방문자가 많아야 하지만, 꾸준한 매출은 재방문 고객에게서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아래는 오픈한지 1년이 좀 넘은 사이트의 2021년 방문 수 추이와 신규방문&재방문 비율입니다.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신규 방문 비율이 점차 상승하다가 4분기에는 70%에서 67%로 그 비율이 하락했지만, 전체 방문 수는 3분기보다 4분기에 약 2배 가까이 증가했는데요.

브랜드를 알리는 활동으로 신규 방문자를 꾸준히 유도하면서, 기존 방문자와도 접점을 놓치지 않았다는 것을 기본 분석 데이터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사이트가 신규 방문이자 비율이 너무 높지 않은지, 또는 새로운 고객의 유입이 너무 적은 것은 아닌지 점검할 수 있는 이 데이터 역시 기본 스크립트 설치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시간 / 요일 / 월 / 분기 데이터 보기

내 사이트의 방문이 가장 많은 요일이 언제인가요? 그 시간대는요?

고객들이 내 브랜드를 가장 많이 탐색하고 필요로 하는 요일과 시간대를 알고 기본 분석 있으면, 그 시점에 맞춰 신상품을 올리거나 고객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등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계절과 밀접한 상품이라면 월별 / 분기별로 데이터를 봐야 할 필요성도 있고요.

시간과 기간을 나눠 볼 수 있는 데이터는 엑셀 없이, 몇 초 만에 보실 수 있습니다.

※ 에이스카운터 > 접속수 > 시간대별 접속수 분표 / 요일별 접속수 분포

※ 에이스카운터 > 접속수 > 방문수 (월간으로 보기 / 분기로 보기 설정)

4. 유입 경로

광고가 아닌 다른 경로로 방문하는 고객이 어떻게 우리 사이트에 방문하게 되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검색을 하다가 필요한 정보를 보려고 방문했을 수도 있고, 아니면 SNS를 타고 우연히 방문할 수도 있는 등 그 경로들이 매우 다양합니다. 유입 경로는 방문자가 왜, 어떻게 방문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우리 고객들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다이티 데이터 마켓 사이트는 서핏, 아이보스, 브런치와 같은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많이 방문하고 있는데요. 그중에서 마케터분들이 많이 활동하시는 아이보스를 통해 방문하시는 분들이 평균 페이지뷰나 체류시간이 긴 편이었어요. 이 데이터를 보고 다이티는 마케팅 콘텐츠를 더 많이 만들어야겠다라는 계획을 세우게 되죠. 😎

※ 에이스카운터 > 유입경로 > 방문유입출처 화면

또는 네이버나 다음에서 어떤 정보를 검색해서 방문했는지 그 키워드도 알 수 있습니다. 에이스카운터는 이나 을 검색해서 방문하시는 분들이 많아, 검색광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으신 분들이 에이스카운터의 잠재 고객인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에이스카운터 > 검색광고효과> 검색광고 검색어별 화면

5. 페이지 경로

우리 사이트에 방문한 고객이 어디에서 많이 이탈하는지, 왜 이탈하는지 그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 을 많이 하시는데요. 시나리오 분석은 페이지의 단계를 설정하고 전환율을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분석 초보자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간단하게 페이지 경로를 파악하고 이탈 페이지를 확인하는 것은 별도의 설정 없이도 할 수 있습니다.

다이티 데이터 마켓에는 트렌드 데이터를 아카이빙 한 페이지가 있는데요. 아카이빙 페이지 (트렌드 리포트)의 이전과 다음 페이지를 확인해 봤습니다. 인사이트 리포트 를 통해 트렌드 리포트로 많이 이동하고, 또다시 인사이트 페이지로 이동하는 방문자가 가장 많았습니다.

또한 트렌드 리포트에서 사이트 내부로 이동하는 비율은 약 76%로, 종료율(24%)에 비해 3배나 높아, 트렌드 리포트 페이지에서 흥미가 생겨 다른 페이지를 더 탐색하는 방문자가 많은 것을 기본 분석 알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페이지 (예 : 회원가입, 구매, 프로모션)를 지정해서, 이렇게 이전 페이지와 다음 페이지만 보더라도 방문자의 이동 경로 파악이 가능합니다. 어디서 많이 방문을 종료하는지 확인해 사이트의 개선까지 할 수 있는 이 지표 역시 기본 스크립트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린 5개의 지표 외에, 분석을 잘 몰라도 쉽고 빠르게 볼 수 있는 데이터는 더 많이 있는데요.

보고 싶은 데이터가 있으시거나 또는 볼 수 있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궁금하시다면, 다이티가 스크립트 설치부터 데이터 보는 방법까지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니 꼭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