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변동성 계산
흔히 투자자들 사이에 내려오는 격언 중에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나의 자산에 올인하는 것보다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하라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내가 가진 돈을 어디에 얼마나 배분해야 위험을 낮추고 수익을 최대화 시킬 수 있을까요? 이러한 문제를 자산 배분(Asset Allocation) 문제라고 합니다. 앞으로 자산 배분 전략 중 위험 대비 수익을 장기적으로 최대화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단일 자산의 수익률과 변동성 계산
먼저 단일 자산에 대한 수익률과 위험을 정의해야 합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17/09/10 부터 18/03/30 기간의 넷마블, 카카오 종가 그래프입니다.
넷마블의 기간 수익률은 2%, 카카오는 1%로 비슷하지만 변동성은 눈으로만 봐도 넷마블이 높아보입니다. 포트폴리오 이론에서 위험하다는 것은 변동성이 큰 주식을 의미하며, 같은 수익률을 준다면 변동성이 더 낮은 주식을 선호합니다.
매수, 매도한 시점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기간 수익률은 다들 쉽게 계산합니다. 그렇다면 월 평균 수익률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수수료는 없다고 가정)
아마 대부분 매월 발생하는 수익률의 평균을 떠올릴 것 입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이 방법은 실제 평균 수익률과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1억의 시드를 가지고 1월에 50% 수익, 2월에 30% 손실이 발생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최종 금액은 1억 500만원이 되며 위의 방법을 이용한 평균 수익률은 (50 + -30) / 2 = 10%가 됩니다. 하지만 이를 실제로 나누어 계산해보면 실제 수익률과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1월에 10% 수익을 얻었다면 1억 1000만원, 2월에는 1억 2100만원이 됩니다. 무려 12100 - 10500 = 1600만원이나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를 제대로 계산하기 위해서는 산술평균이 아닌 기하평균을 사용해야합니다.
첫 번째 수식이 산술평균이고 두 번째 수식이 기하평균입니다. 여기에서 n은 기간이 됩니다. 앞의 예시에 기하평균을 이용해서 평균 수익률을 계산해보면 대략 2.49%가 나옵니다. 이를 이용하여 다시 계산해보면 1월에 1억 249만원, 2월에 1억 504만원이 나옵니다. 오차는 10504 - 10500 = 4만원으로 훨씬 정확하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변동성(=위험)은 기댓값으로 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를 나타내는 분산과 동일한 의미를 가집니다. 간단하게 보면 아래의 카카오 종가 그래프에서 평균선과 차이를 모두 더한 값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변동성 계산
처음 설명한 자산 배분 문제는 결국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투자할 자산군을 결정
- 결정한 자산 별 수익률, 변동성 및 상관관계를 계산
- 변동성 대비 수익률이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를 구성
포트폴리오의 경우 앞서 설명한 단일 자산과는 달리 여러 자산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변동성을 계산하려면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주어진 예산에서의 자산 별 투자 비중이 정해져야 합니다.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 개별 자산의 기대수익률과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곱해서 합산하는 방법으로 계산합니다.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은 공분산(Covarience)을 이용해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분산은 확률변수가 2개 이상일 때 각 확률변수들이 얼마나 퍼져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을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는 확률변수의 절대적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0과 1사이로 단위화시킨 값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00만원 대의 주식 2개와 10만원 대의 주식 2개의 각 공분산을 계산해보면 100만원 대 주식의 공분산에서 더 큰 값이 나오게 됩니다. 이러한 크기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분산의 크기만큼 나눈 것 입니다.
결국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은 포트폴리오의 비중, 투자 자산들 간의 공분산 행렬, 다시 포트폴리오 비중을 곱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파이썬의 numpy, pandas, matplotlib 을 이용해서 계산하는 노트북 링크입니다. 다음에는 포트폴리오 이론의 시초이자 최적의 mean-varience를 계산하는 markowitz 모델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투자 수익을 계산하는 방법 – 알아야 할 모든 것
투자 수익률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결국, 그것은 간단한 메트릭입니다, 그렇죠? 글쎄, 그렇게 빠르지 않아! 이 기사에서는 몇 가지 세부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ROI가 투자자가 투자를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유일한 지표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 기간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경우 모든 거래 비용과 세금을 고려하는 경우에만 ROI 계산이 정확합니다.
ROI는 투자 수익성의 기본적인 척도입니다.
ROI는 부동산 및 주식과 같은 두 가지 유형의 투자를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에서 Joe가 2,000년 Big-Sale Stores Inc.에 2011달러를 투자하고 2,800년 후 자신의 주식을 40달러에 매각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것은 그가 Slice Pizza에 투자하여 얻은 수익의 두 배 이상인 XNUMX%의 ROI를 달성했음을 의미합니다.
이 계산은 두 가지 유형의 투자를 비교하고 어떤 투자에 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ROI는 투자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널리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계산하기 쉽고 다양한 유형의 투자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과 다른 투자를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투자 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가치 있는 지표입니다.
긍정적인 ROI는 수익성 있는 투자의 표시입니다. 마이너스 ROI는 손실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ROI는 투자를 평가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중요한 지표입니다.
계산하기 쉽습니다
투자 수익률(ROI)은 투자를 통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 측정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ROI는 백분율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100달러를 투자하고 10달러를 벌었다면 ROI는 200달러입니다.
그러나 ROI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ROI를 계산하기 위한 몇 가지 팁입니다.
첫 번째 단계는 투자의 원래 비용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과 위험 요인으로 인해 오늘 투자한 달러가 내일보다 더 가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십시오.
또한 일부 계산에서는 미래 달러의 "순 현재 가치"를 사용합니다. 보다 정확한 방법은 할인된 현금 흐름 모델입니다. 이 방법의 주요 이점은 단 몇 분 만에 투자 수익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ROI 계산기를 사용하면 재무 결정을 더 빠르고 현명하게 내릴 수 있습니다.
ROI 계산은 가정에 의존한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지나치게 공격적이거나 보수적인 가정은 잘못된 ROI 계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의 ROI는 1,000%이고 토지는 50%만 반환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XNUMX년 안에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 중 하나에 투자하기로 결정할 수 있고, 다른 하나에 투자하면 한 달 안에 훨씬 적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투자를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유일한 지표는 아닙니다.
ROI(투자 수익률)는 널리 사용되는 지표이지만 투자를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ROI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지만 위험과 시간 범위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자본 이득에 대해 지불하게 될 세금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궁극적으로 투자는 긍정적인 수익을 창출해야 하지만 그것이 그렇게 될 것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ROI는 비용이 지불된 후 투자가 창출하는 이익의 백분율입니다. ROI가 양수라는 것은 수익이 비용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주식을 장기적으로 보시는 분들
모든 투자에 적용될 수 있는 말이지만 특히나 주식투자에 있어서
수많은 중요한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인 '자기 통제력'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나 단기투자 혹은 처음 주식투자를 시작하신 분들에게서 많이들 나오는 잘못된 습관 중에 하나가
흔히들 말하는 '뇌동매매' 순간적인 충동에 의한 매수·매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른 투자에 비해서 주식의 경우 손익이 바로 실시간으로 계좌에서 확인이 가능하니
수익이 실현 중이라면 여유로 울 수 있겠으나 손실이 나고 있는 상황이라면 누구나 마음이 불안하고 지금이라도 매도하여 손절을 할지 버텨볼지 끊임없이 갈등하며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급등하는 주식들을 보면 따라서 추격 매수하게 되는 일종의 '불타기', '뇌동매매'가 또 한몫을 합니다.
일전에 한번 워런 버핏의 부자 되는 마인드 18가지를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
오늘 주식의 대가인 워런 버핏의 투자원칙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최근 워런 버핏의 항공주 손절매는 그의 명성에 금이가긴했습니다만..)
워런 버핏의 두 가지 투자원칙
첫째. 돈을 절대 잃지 않는다.
둘째. 제1원칙을 반드시 지킨다.
지금 보면 누구나 이런 투자를 하고 싶고 누구나가 다 바라고 있는 사항들이죠?
어느 누구도 본인이 투자한 돈을 잃고 싶어 하는 사람은 없을 테니까요. 주식시장에서 수없이 실패한 사람들이 본인이 잃고 싶어서 잃었을까요?
주식투자에 있어서 절대적인 성공 공식은 항상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다만 우리가 공부를 하는 이유는 주식 투자에 있어서 그 성공 확률을 높이는 것.이라고 저는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예시를 한 가지 들어보면서 이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엄마 몰래 비자금을 모은 하품이.
하품이 가 100만 원의 비자금으로 미국 주식투자를 시작하였습니다.
'스타벅스' 종목에서 +10%의 수익을 낸 뒤
'버진 갤럭틱' 종목을 매수하여 -10%의 결과를 얻었습니다.』
비자금 (100만원) → 스타벅스 +10% 수익 (110만원) → 버진 갤럭틱 -10% 손절 (99만원)
반대로 -10%를 그 뒤 +10%를 해본다면 어떨까요?
비자금 (100만원) → 버진 갤럭틱 -10% 손절 (90만원) → 스타벅스 +10% 수익 (99만원)
순서가 바뀌어도 마찬가지로 99만원의 통잔 잔고가 나왔습니다.
(편의상 증권거래세는 제외하였습니다만 증권거래세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최근 코로나 사태 동안의 증권거래세가 4조 3000억원인데 이는 지난 6년 연간 평균 거래세수인 6조 4000억 원의 약 3분의 2를 5개월 만에 돌파한 셈입니다.)
손실률이 10%를 넘어가더라도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원금 회복하는데 필요한 수익률이 같을까요?
만약에 하품이가 원금 100만원에서 -50% 손실을 입었다면 원금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얼마큼의 수익률이 필요할까요?
아닙니다. 원금회복을 위해서는 100%의 수익률을 내야 합니다.
100만원에서 -50% 손실이 나면 50만원이 되고,
50만원에서 다시 원금 100만원이 되기 위해서는 +50만원 , 즉 100%의 수익이 필요한 상황이 됩니다.
■ 손실률에 따른 원금회복에 필요수익률
손실율 | 원금회복에 필요한수익률 |
5% | 5.3% |
10% | 11.1% |
15% | 17.7% |
20% | 25% |
25% | 33.3% |
30% | 42.9% |
50% | 100% |
70% | 233.3% |
99% | 9900% |
수수료와 세금은 별도로 계산하지 않았지만 대략적인 수치만 보더라도 10% 이상의 손실부터는 원금회복에 필요한 수익률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눈치채셨나요?
사실 이러한 수익률과 손실률에 대한 정확한 접근은 수준급 트레이더들이 손절과 분할매수 · 매도를 항상 이야기하는 이유이고 워런 버핏이 말한 메시지의 속뜻이기도 합니다.
주식투자에 있어서 손익계산은 %, 그리고 복리로 계산된다는 점을 명심해두시면 좀 더 전략적인 투자를 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2021년 7월 주식투자 및 배당수익, 주식투자 엑셀 정리 방법
2021년 7월 주식투자 수익률 및 배당 수익 정리입니다. 빅테크 실적발표 후 생각보다 오르지는 않았지만 7월에는 주식들이 많이 올라서 기분 좋은 한 달입니다. 7월 달 주식 투자 내용 정리 및 평소 제가 구글 시트로 투자 수익률 등을 정리하는 방법 적어보았습니다.
1. 배당수익
7월에 배당이 들어온 종목은 LIT ETF, 리얼티인컴(O), AGNC, 브로드컴(AVGO)입니다. 전체 배당금은 세후 54,84달러입니다. 5월에는 100달러를 넘겼었는데 5월 이후로 반토막이라 조금 슬프네요. LIT는 추가 매수로 수익률 하락해서 63%, 브로드컴은 6%, AGNC는 지난달에 이어 -2%입니다. 리얼티 인컴은 매도했는데 AGNC 대신에 리얼티 인컴을 모아야 할지 고민 중입니다.
2. 미국주식 포트폴리오
2021. 7. 30. 포트폴리오
현재 포트폴리오입니다. 7월에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매도한 종목은 애플 5주(33%, 145달러 매도), 아마존 1주(14%, 3746달러 매도), 크라우드스트라이크 1주 (34%, 267달러 매도), 디즈니 전량(29%, 175달러 매도), 페이스북 5주 (8%, 370달러 매도), 알파벳 A(12%, 2736달러 매도), 마이크로소프트 5주 (21%, 288달러 매도), 니오 전량 매도 (12%, 44달러 매도), 리얼티 인컴 전량 매도(3%, 67.8달러 매도), 로블록스 전량매도 (9%, 77달러 매도), 스퀘어 5주 (15%, 249달러 매도)입니다.
전고점을 찍는 상황이 되면 일단 소량 분할 매도해서 수익실현하고 하락하면 다시 매수하고 있기 때문에 매도가 많긴 합니다. 디즈니의 경우 조금 더 기다렸다 팔걸 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어차피 매도 타이밍을 보고 있었기 때문에 나쁘지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않았다고 보고 있고, 리얼티 인컴의 경우는 팔지 말고 모아갈걸 그랬나 싶은 생각이 좀 들긴 합니다.
아마존의 경우 실적발표로 인해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장외에서 7퍼센트 넘게 하락해서 3331달러로 나오는데 음. 1주 팔았으니 떨어졌을 때 다시 1주 채워 넣을 계획이고, 시간외에서 353달러인 페이스북도 가격이 확 튀어 오르지 않는다면 매수를 고려중입니다.
수익률 순서대로 종목을 나열하면 LIT ETF가 현재 63.13%, 애플 33.44%, 크라우드스트라이크 29.37% 입니다. 현재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이는 종목은 순서대로는 AGNC -1.75%, 소파이 -1.56%, 엔비디아 -1.29%입니다.
3. 올해 목표 수익률 달성!
2021년도는 올해 목표는 물론 이상적인 목표인 1월 평가금 기준 20% 수익+ 올해 투자금 대비 15% 수익 역시도 달성 완료이기 때문에 야금야금 차익실현을 하고 있습니다. 8월까지 차익실현을 통해 현금비중을 늘릴 예정입니다.
4. 주식투자 엑셀 정리
저는 구글 시트를 통해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1. 연복리 시트 2. 현재 비중 및 수익률 시트 3. 투자종목 시트 4. 투자원금 정리 5. 배당수익 정리 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구글시트의 경우 기기와 관계없이 열어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편리하고 시간 차이가 좀 있지만 환율, 현재 주가, per 같은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합니다.
계좌에 입금한 한화를 정리해 두면 실제 투자금 원금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매번 수시로 입금하기도 하고, 사고팔면 보여지는 수익률은 현재 가지고 있는 종목의 수익률로 합산되어 나오기 때문에 고민하다가 구글시트로 만들어서 관리하고 있는데 같은 고민 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정리해두고 수식을 적용하면 여태까지 전체 투자원금, 매해 투자금액, 환차손/환차액에 대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투자원금 누적 구글시트
주식 투자 복리 수익률 계산
이런 주식 복리 수익률 계산은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아마 많이 보셨을 듯 한데 은퇴 시까지 많이 계산해서 금액을 계산해보면 지금 생각에는 불가능할 것 같은 금액이 나오게 됩니다. 미국주식으로 제가 희망하는 수익은 매년 1월달 계좌 평가금액의 20% + 그 해 신규투자금액의 10% 수익입니다. 장기 목표의 노란색 목표금액이 그 금액입니다. 2020년 여름 기준으로 작성했고 그때 계산한 복리 수익률입니다. 젤 앞에 나이, 연도만 보이고 그 중간은 숨김 처리하여 실제 시트에서는 나이, 연도, 장기 목표까지만 보입니다. 장기 목표 옆으로 실제 매년 투자금액과 평가금액으로 20%+10%를 계산한 목표, 현재 달성률을 나타나도록 양식을 만들어두었습니다.
미국주식 투자 복리 수익률 시트
현재 평가금액만 그때 그때 적으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계산이 되도록 수식을 적용해 두었습니다. 실제 투자금은 투자금 누적 시트에서 자동으로 불러옵니다. 작년과 올해 P2P, 예적금, 에임, 펀드 등에 있던 자금을 모두 미국 주식으로 옮겼기 때문에 투자금이 엄청나게 늘어난 상태입니다. 현재 미국 주식에 몰빵 된 상태라서 앞으로는 월급 외에 추가 투자할 자금은 없어서 아쉽네요.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