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셋 일반 권장사항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언리얼 엔진 5

Netflix 디자인 NPAA

이 페이지는 아트워크 제작 과정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담고 있습니다. 타이틀의 아트워크 제작을 책임질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에 파트너사는 무엇을 제공해야 하는지 알아보세요.

콘텐츠 파트너의 협력과 관심은 타이틀을 위한 최상의 아트워크를 제작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협력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넷플릭스의 아트워크 접근 방식

넷플릭스는 위대한 이야기가 어디서든 생겨날 수 있고 어디서든 사랑받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모든 타이틀이 각자의 소리를 내도록 만들고자 합니다. 그 타이틀을 접한 모든 회원에게 의미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말이죠.

회원들은 각기 다른 시간에, 각기 다른 기분으로, 각기 다른 삶의 순간에, 타이틀 라이프사이클에서 각기 다른 시점에, 시청할 콘텐츠를 발견합니다. 모든 회원은 저마다 다릅니다. 타이틀의 어떤 면이 한 회원에게 어필한다고 해서 다른 회원에게도 어필한다는 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타이틀을 위해 제작된 모든 아트워크는 회원들이 타이틀을 발견하게 되는 접점의 순간에 집중하며, 스토리를 충실히 표현합니다. 다채로운 이미지를 활용해 회원들의 다양한 관심, 취향 및 기분을 사로잡습니다.

넷플릭스 프로덕트는 아트워크 애셋에 대한 요구 사항과 기대가 큽니다. 또한 모든 작업에서 유연성이 중요합니다. 각 이미지는 다양한 템플릿에 맞춰 디자인되고, 여러 언어로 현지화되며, 시청 취향과 디바이스에 따라 회원마다 다르게 제공됩니다. 또한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부터 최신 TV의 커다란 화면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됩니다.

넷플릭스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 중 한 곳이 파트너가 제공한 RAW 애셋과 소스 자료를 활용해 넷플릭스의 사양 및 품질 수준에 맞춰 아트워크를 제작하게 되며, 에이전시의 아트워크는 파트너의 타이틀을 가장 잘 표현하면서도 스토리의 다양한 면을 드러내고, 넷플릭스 회원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도록 제작됩니다.

진행 과정

넷플릭스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 중 한 곳이 타이틀의 아트워크 제작에 활용될 RAW 애셋 및 소스 자료를 전달받기 위해 콘텐츠 파트너에게 연락을 취합니다. 이후 해당 아트워크 에이전시는 넷플릭스 프로덕트 크리에이티브 전략팀(PSC)과 밀접하게 소통하며 이미지를 개발합니다. PSC는 각 아트워크가 콘텐츠를 충실히 표현하고 넷플릭스의 수준 높은 크리에이티브 기준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시청자들이 넷플릭스에서 해당 타이틀을 접할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타이틀 발견 과정에 도움이 되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1 단계 NPAA 목록과 요율표를 확인합니다.

2 단계 넷플릭스에서 콘텐츠 파트너를 NPAA에 소개합니다.

3 단계 넷플릭스에서 NPAA에 직접 아트워크 제작을 요청합니다.

4 단계 콘텐츠 파트너가 RAW 파일을 직접 NPAA에 전달합니다.

5 단계 NPAA에서 아트워크를 제작하여 넷플릭스에 납품합니다.

파트너가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에 제공해야 하는 애셋

콘텐츠 파트너가 제공하는 타이틀의 개수와 상관없이,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는 모든 타이틀 작업에 다음의 RAW 애셋 및 소스 자료가 최대한 많이 필요합니다. 각 애셋을 준비 시, 다음 사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세요.

  • 가능한 최고 해상도
  • 레이어된 파일 및 편집 가능한 RAW 애셋
  • 깔끔하게 정리된 파일(파일 이름 및 폴더 구조 정리)
  • 넷플릭스 서비스 및 외부 채널 모두에서 홍보에 활용될 수 있도록 권리 확보

키아트 또는 포스터

아래는 마케팅 프로모션에서 타이틀 홍보에 활용되는 포스터 또는 '키아트'의 예시입니다. 타이틀용 키아트 또는 포스터 애셋의 경우, 모든 텍스트, 로고, 캐릭터 및 배경 요소가 파일 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항상 레이어된 PSD 파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가능한 최고 해상도로,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전달합니다.

AVA Main KA → SDP, Boxshot, & Story Art

AVA Main KA → SDP, Boxshot, & Story Art

AVA Alt KA → BB Creation

AVA Alt KA → BB Creation

콘텐츠에서 추출한 스틸

콘텐츠 내 주요 장면을 추출한 고해상도 스틸은 타이틀을 충실히 표현하는 아트워크를 제작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최소 10-15장의 스틸을 제공해 주실 것을 권장하며, 크리에이티브의 다양성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즉 주연 배우가 등장하는 주요 장면을 전달하되, 다양한 장면과 상황을 포함해야 합니다.

스크린숏을 통해 생성된 스틸은 해상도가 낮으므로 허용되지 않으며, 제공된 스틸 이미지는 영상에서 직접 추출한 것이어야 합니다.

만약 파트너가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에 스틸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 넷플릭스에 콘텐츠가 납품된 이후 에이전시에서 직접 스틸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21 Bridges Stills from Content → SDP & Boxshot

21 Bridges Stills from Content → SDP & Boxshot

로고 또는 타이틀 트리트먼트

파트너는 타이틀의 로고 또는 타이틀 트리트먼트를 되도록이면 AI, EPS 또는 PDF 등 벡터화된 파일로 제공합니다. 이는 로고 확대 시 화질 손실을 막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로고에 사용된 폰트명도 함께 제공해 주세요.

래스터화된 파일은 고화질, 고해상도(가로 2500픽셀 이상)로, 추가적인 오브젝트 또는 요소(elemen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가능한 경우, 현지화된 로고 또는 타이틀 트리트먼트도 함께 전달해 주세요. 파일에 적용되는 사양은 위와 동일합니다.

갤러리, 유닛 또는 기타 사진

작업 중인 타이틀의 사진 애셋이 있다면, 이는 아트워크 크리에이티브 작업에 매우 유용한 소스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당 사진 애셋은 가능한 최고 해상도로 제공되어야 하며, 각 애셋은 타이틀의 홍보를 위해 넷플릭스 서비스 및 외부 채널에서 아무런 제약 없이 활용될 수 있어야 합니다. 참고로 백스테이지 및 비하인드 컷은 아트워크에 활용될 수 없으므로, 제공하지 마세요.

Maria - Marketing Still + Unit Photo composited together

Maria - Marketing Still + Unit Photo composited together

The Remix - Image turned into SDP & Boxshot

The Remix - Image turned into SDP & Boxshot

캐릭터 아트워크

넷플릭스에 키즈 타이틀을 제공하는 경우,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에 메인 캐릭터의 최종 캐릭터 애셋을 모두 제공합니다. 해당 애셋은 캐릭터 아트워크 제작에 활용됩니다.

영상 콘텐츠

예고편 또는 기타 홍보 영상과 같은 고화질 영상 애셋 또한 아트워크 제작의 소스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아트워크 제작에 활용될 스틸 추출이 가능하도록 2GB 이상 및 4:2:2 화질의 파일을 권장하며, 가능한 경우,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에 해당 애셋을 제공합니다.

모든 납품 및 넷플릭스 서비스용 최종 고해상도 콘텐츠는 NPFP가 수집합니다.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는 넷플릭스 서비스용 영상 콘텐츠의 납품에 관여하지 않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넷플릭스 서비스 외 채널에서 활용될 타이틀의 홍보물 제작을 위해 최종 고해상도 영상 애셋을 수집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영상 애셋은 넷플릭스 서비스 외 채널에서 홍보에 활용될 수 있도록 권리(콘텐츠, 음악, 이미지 등)가 확보되어야 합니다.

Trailer Frame (not exact) → Boxshot, SDP

Trailer Frame (not exact) → Boxshot, SDP

Trailer Frame (not exact) → Boxshot, SDP

Trailer Frame (not exact) → Boxshot, SDP

Trailer Frame (not exact) → Boxshot, SDP

Trailer Frame (not exact) → Boxshot, SDP

애셋 전달

라이선스 프로덕트 아트워크 에이전시마다 업무 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작업의 시작과 동시에 파일 전달 방식 및 기대 사항에 대해 논의합니다. 다음은 애셋 전달 과정을 보다 매끄럽게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입니다.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제 2회 청강 알발 페스타 공모전의 진행 방식을 리뉴얼 했습니다. 전반적으로 더 많은 참여를 독려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공모전 내용이 많이 달라졌으니 본문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공모전 개요

플랫폼 제한 없음, AR, VR, 메타버스 가산점 방식

지정 공모와 자유 공모가 동시에 진행

지정 공모 총 상금 800만원, 자유 공모 총 상금 1200만원 (애셋 일반 권장사항 1인당 100만원 제한)

지정 공모는 개인 참가자 모집 후 교수자가 팀 구성 조율

자유 공모는 2022년 1월 16일(일)까지 수시 접수

우수작은 AR/VR 스튜디오에 전시합니다. (변경될 수 있음)

전체 일정

팀 구성 기한: 2022년 1월 9일 (일)까지

  • 지정 공모 1
    • 완성 및 제출: 1월 23일 (일), 2회 알발 페스타 완성 발표 결과물 제출 링크 >>
    • 수정 제출: 2월 6일 (일) (미 제출시 상금 회수), 2회 알발 페스타 수정 결과물 제출 링크 >>
    • 만족도 조사 참여, 결과 보고서, 멘토링 보고서 제출: 2월 13일 (일)까지
    • 멘토링 보고서 제출 링크 >>
    • 완성 및 제출: 2월 28일 (월), 제출처 추후 안내 예정
    • 수정 제출: 3월 14일 (월) (미 제출시 상금 회수), 제출처 추후 안내 예정
    • 결과 보고서, 멘토링 보고서 제출: 3월 14일 (월)까지
    • 멘토링 보고서 제출 링크 >>

    참가 접수: 2022년 1월 16일 (일) 까지, (하단 접수 안내 참조, 접수한 팀은 바로 제작을 시작해주세요)

    온라인 발표: 1월 24일 (월) 오후 7시 (19시), 팀즈

    만족도 조사 참여 및 결과 보고서 제출: 2월 13일(일) 까지, 결과 보고서 제출 링크 >>

    최종 선정 공지: 2월 14일(월)

    제출 내용 안내

    다음 내용을 파일 하나로 압축하여 제출

    • PC나 휴대폰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게임 혹은 디지털 콘텐츠 결과물
    • 빌드 제출 필수
    • 플레이 녹화 영상
    • 플레이 안내 문서 (PDF 형식)

    < 결과 보고서 내용 (지정 공모, 자유 공모) >

    다음 내용을 파일 하나로 압축하여 제출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잘한 것, 아쉬운 것, 배운 것
    • 팀원 별 작업 사항
    • 기타 자유 내용

    다음 내용을 파일 하나로 압축하여 제출

    • 회의 내용 요약
    • 멘토의 피드백과 반영한 내용
    • 회의 모습 캡처 혹은 사진: 오프라인 회의는 스냅사진, 온라인 회의는 캡처 이미지

    지정 공모

    정해진 러프 컨셉 문서가 있으며 멘토와 협의하여 제작 내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참가 희망자를 모집하여 주최측의 조율로 팀이 구성됩니다. (팀 구성 실패시 자유공모로 상금 이관)

    1차 완료 후 수정 제출이 있습니다.

    팀원 1인당 100만원의 상금 제한이 있습니다.

    주제 1. Museum R 앱 – 200만원

    주제 2. 메타버스 버추얼 캐릭터 + AI 입시봇 1차 마일스톤까지 – 600만원

    지정 공모 조건: 다음의 예상 인원으로 진행합니다.

    • 주제 1: 프로그래머 1, 기획 1
    • 주제 2: 프로그래머 1~2, 기획 1, 캐릭터 원화 1, 캐릭터 모델러 1, 애니메이터 1, TA 1

    자유 공모

    플랫폼 제한이 없으나 AR, VR, 메타버스 가산점 있음

    1회 알발 페스타 접수 후 미 제출한 경우 제출 가능

    1회 알발 페스타 제출물의 재활용 및 업그레이드 제출 애셋 일반 권장사항 불가

    자유 공모 상금 (총 1200만원)

    상황에 따라 상금과 팀 수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팀원 1인당 100만원의 상금 제한이 있습니다.

    참가 접수

    지정 공모 팀 구성 기간: 2022년 1월 9일 (일)까지

    자유 공모 접수 기간: 2022년 1월 16일 (일) 까지, (접수한 팀은 바로 제작을 시작해주세요)

    참가 자격: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재학생 (휴학생 제외)

    지정 공모

      이메일로 참가 요청을 해주세요. 이메일에는 역할, 이름, 학번, 학년, 소속 스쿨, 포트폴리오 자료 링크, 전화번호를 첨부합니다.
    • 개인 포트폴리오 제출이 필요하며 팀원의 역량 파악 목적으로 신청 현황 페이지에 공개됩니다. 공개해도 무방한 포트폴리오를 제출해주세요.
    • 그래픽은 공개된 개인 블로그 링크도 좋습니다.
    • 프로그래머나 기획은 자신이 수행했던 프로젝트와 역할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제출합니다.

    자유 공모

    • 참가 신청서 서식: 자유 공모 참가 신청서 서식 엑셀 파일 다운로드 링크
    • 컨셉 기획과 개발 일정 문서 (PPT)
    • 위 내용을 하나의 파일로 압축하여 다음 링크에 제출
      1. 2회 알발 페스타 참가 신청 제출 (자유 공모)

    참가 신청서 서식에는 팀명, 학번,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팀 내 역할 등을 기재해야 합니다.

    이메일과 전화번호는 공지사항 전달을 위해 사용됩니다.

    접수 여부는 팀장 이메일로 안내합니다.

    개발 중간에 팀원 내용에 변동이 있을 경우 이메일로 알려주세요.

    온라인 발표

    발표 시간: 1월 24일 월요일 오후 7시 온라인 팀즈 (접수 완료 후 팀을 생성하고 초대할 예정입니다.)

    • 발표 가이드
      • 발표자는 팀원 누구나 가능합니다.
      • 10분 이내로 발표합니다.
      • 지정 공모 1과 자유 공모가 동일하게 발표합니다. (지정 공모 2는 다른 일정으로 진행)

      외부 애셋 사용 가이드

      외부 애셋 사용 가이드입니다.

      기본 취지는 대체로 애셋 사용을 허용하는 방향입니다. 하지만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기 위해 유료 애셋은 게임 크레딧과 영상에서 사용 애셋을 명시하도록 합니다.

      실적 최대화 캠페인

      오늘날의 쇼핑객은 필요한 제품을 찾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공간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도달범위를 극대화하고 고객의 쇼핑 위치에 상관없이 더 많은 고객을 만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통해 광고주는 YouTube, Google 검색, 디스커버를 비롯한 모든 Google 채널에서 새로운 인벤토리와 형식을 이용하고 잠재고객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1

      실적 극대화 캠페인 활용 방법

      도달범위 극대화

      모든 Google 광고 인벤토리 및 형식에 표시됩니다. 언제 어디서든 고객이 검색하거나 콘텐츠를 소비할 때 신규 고객을 찾을 수 있습니다.

      트래픽 및 판매 유도

      Google 전반에서 전환 가능성이 높은 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고 온라인, 오프라인 매장 또는 옴니채널 판매를 늘려보세요.

      통계 및 트렌드 파악

      활용 가능한 분석 정보를 확인하여 캠페인 실적을 개선하고 목표에 맞는 예상치 못한 신규 잠재고객을 찾아보세요.

      단일 캠페인에서 수억 명의 잠재고객에게 제품을 선보이세요.

      YouTube

      전 세계 쇼핑객 중 40% 이상이 YouTube에서 발견한 제품을 구매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2 인플루언서의 쇼핑 여행을 감상하거나 리뷰를 검색하는 등 제품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는 쇼핑객에게 다가가세요.

      디스플레이

      쇼핑객이 좋아하는 블로그의 게시물을 읽거나 휴대기기 및 앱을 사용하거나 인터넷에서 수백만 개의 파트너 웹사이트, 동영상, 앱을 탐색할 때와 같이 쇼핑객이 내가 판매하는 제품을 검색하기도 전에 쇼핑객에게 도달해 보세요.

      Google 검색

      사람들은 각자 원하는 정보를 검색합니다.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이용하면 내가 Google을 통해 판매하는 제품을 찾는 쇼핑객에게 내 제품을 선보일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점은 쇼핑객이 광고를 클릭할 때만 비용이 청구된다는 것입니다.

      Google 앱에서 탐색

      좋아하는 주제를 살펴보고 관심분야를 계속 확인하는 수억 명의 쇼핑객에게 내 제품을 표시해 보세요. 검색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Gmail

      매달 10억 명이 넘는 활성 사용자가 Gmail을 찾습니다. 받은편지함을 포함해 잠재고객이 콘텐츠를 이용하는 모든 곳에서 내 제품을 선보이세요.

      근처에 있는 고객이 검색 및 탐색을 할 때 내 매장과 유사한 장소에 관심을 보이면 내 위치가 표시됩니다.

      비즈니스 프로필

      매장에서 제공하는 제품과 특별 이벤트를 홍보해 보세요.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매장 목표를 기준으로 최적화

      고객이 찾는 제품이 온라인 제품인지 또는 오프라인 매장 제품인지 관계없이 온라인/오프라인 환경에서 고객에게 도달할 수 있습니다.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통해 온라인 판매 및 오프라인 매장 목표(예: 매장 방문, 통화 클릭, 경로 클릭)를 측정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수익이 95% 증가한 Joybird

      온라인 가구 소매업체인 Joybird는 스마트 쇼핑 캠페인을 통해 온라인 구매를 유도하는 데 이미 큰 성공을 거두고 있었습니다. 캠페인의 성과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기 위해 Joybird는 Go Fish와 파트너십을 맺고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테스트했습니다.

      더보기 간략히 보기

      온라인 가구 소매업체인 Joybird는 스마트 쇼핑 캠페인을 통해 온라인 구매를 유도하는 데 이미 큰 성공을 거두고 있었습니다. 캠페인의 성과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기 위해 Joybird는 Go Fish와 파트너십을 맺고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테스트했습니다.

      주요 통계

      전환수가 28% 증가한 Public Rec

      애슬레저 소매업체인 Public Rec은 실적 극대화 캠페인의 얼리 어답터로서 온라인 판매 증대와 광고 투자수익(ROAS)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Public Rec은 스마트 쇼핑 캠페인과 함께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테스트하기 위해 고품질 광고 애셋을 추가로 제공해 모든 Google 인벤토리 및 형식에서 노출 범위를 극대화했습니다.

      “ 실적 극대화 캠페인은 숙련된 마케터와 초보 마케터 모두에게 효율적이며 사용하기 쉽습니다. 모든 Google 서비스를 활용함으로써 다방면에서 적절한 고객을 사로잡아 비즈니스를 성장시킬 수 있었습니다.”

      더보기 간략히 보기

      애슬레저 소매업체인 Public Rec은 실적 극대화 캠페인의 얼리 어답터로서 온라인 판매 증대와 광고 투자수익(ROAS)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Public Rec은 스마트 쇼핑 캠페인과 함께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테스트하기 위해 고품질 광고 애셋을 추가로 제공해 모든 Google 인벤토리 및 형식에서 노출 범위를 극대화했습니다.

      “ 실적 극대화 캠페인은 숙련된 마케터와 초보 마케터 모두에게 효율적이며 사용하기 쉽습니다. 모든 Google 서비스를 활용함으로써 다방면에서 적절한 고객을 사로잡아 비즈니스를 성장시킬 수 있었습니다.”

      주요 통계

      광고 투자수익(ROAS)이 45% 증가한 Estée Lauder

      Estée Lauder는 세계 최고의 화장품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변화하는 소비자 행동에 적응하기 위해 Zenith와 파트너십을 맺어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설정하고 최적화했습니다. 실적 극대화 캠페인은 현재 Estée Lauder의 전자상거래 판매 증대를 위한 장기적인 성장 엔진입니다.

      더보기 간략히 보기

      Estée Lauder는 세계 최고의 화장품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변화하는 소비자 행동에 적응하기 위해 Zenith와 파트너십을 맺어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설정하고 최적화했습니다. 실적 극대화 캠페인은 현재 Estée Lauder의 전자상거래 판매 증대를 위한 장기적인 성장 엔진입니다.

      주요 통계

      ROAS 증가(스마트 쇼핑 캠페인 대비)

      전환율 증가(스마트 쇼핑 캠페인 대비)

      광고 투자수익(ROAS)이 33% 증가한 Pantaloons

      Pantaloons는 다양한 브랜드의 트렌디한 의류와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의류 소매업체입니다. 이 업체는 높은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스마트 쇼핑 광고의 마케팅에 집중했지만 판매 증가 및 더 높은 광고 투자수익(ROAS) 달성에 애셋 일반 권장사항 도움이 되는 새로운 전략인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더보기 간략히 보기

      Pantaloons는 다양한 브랜드의 트렌디한 의류와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의류 소매업체입니다. 이 업체는 높은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스마트 쇼핑 광고의 마케팅에 집중했지만 판매 증가 및 더 높은 광고 투자수익(ROAS) 달성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전략인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주요 통계

      수익이 38% 증가한 Sportisimo

      Sportisimo는 스포츠용품, 스포츠/피트니스 의류를 판매하는 옴니채널 소매업체입니다. 장기간 스마트 쇼핑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운영한 후 실적 극대화 캠페인으로 전환해 Google 검색, 쇼핑, 디스플레이, 디스커버, YouTube 전반에서 도달범위를 극대화했습니다.

      더보기 간략히 보기

      Sportisimo는 스포츠용품, 스포츠/피트니스 의류를 판매하는 옴니채널 소매업체입니다. 장기간 스마트 쇼핑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운영한 후 실적 극대화 캠페인으로 전환해 Google 검색, 쇼핑, 디스플레이, 디스커버, YouTube 전반에서 도달범위를 극대화했습니다.

      주요 통계

      수익이 40% 증가한 microspot.ch

      온라인 소매업체인 microspot.ch는 전년 대비 조회수 감소 및 핵심 제품 카테고리 내 경쟁 심화로 인해 2021년에는 어려운 시장 상황을 마주해야 했습니다. 자동화를 도입하고 고품질 애셋을 제공했으며,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사용해 소비자 전자기기 제품에서 추가 수익과 전환을 유도할 수 있었습니다.

      더보기 간략히 보기

      온라인 소매업체인 microspot.ch는 전년 대비 조회수 감소 및 핵심 제품 카테고리 내 경쟁 심화로 인해 2021년에는 어려운 시장 상황을 마주해야 했습니다. 자동화를 애셋 일반 권장사항 도입하고 고품질 애셋을 제공했으며,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사용해 소비자 전자기기 제품에서 추가 수익과 전환을 유도할 수 있었습니다.

      주요 통계

      총 전환수가 12% 증가한 Giesswein

      울 상품 소매업체인 Giesswein은 Google 검색과 쇼핑 캠페인을 두 가지 가장 큰 광고 채널로 이미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더 큰 성장을 위해 Giesswein은 RN Digital과 파트너십을 맺고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운영해 더 많은 고객에게 도달했습니다.

      더보기 간략히 보기

      울 상품 소매업체인 Giesswein은 Google 검색과 쇼핑 캠페인을 두 가지 가장 큰 광고 채널로 이미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더 큰 성장을 위해 Giesswein은 RN Digital과 파트너십을 맺고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운영해 더 많은 고객에게 도달했습니다.

      주요 통계

      광고 투자수익(ROAS)이 35% 상승한 Petit Bateau

      프랑스 소매업체인 Petit Bateau는 스마트 쇼핑 캠페인으로 온라인 애셋 일반 권장사항 판매를 유도하는 데 성공한 후 대행사인 Havas Market과 함께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운영했습니다. 그 결과 Petit Bateau는 별도의 단일 채널 캠페인 운영을 통해 발생하는 최적화 및 기여 분석 격차를 해결하여 광고 투자수익(ROAS)을 늘렸습니다.

      더보기 간략히 보기

      프랑스 소매업체인 Petit Bateau는 스마트 쇼핑 캠페인으로 온라인 판매를 유도하는 데 성공한 후 대행사인 Havas Market과 함께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운영했습니다. 그 결과 Petit Bateau는 별도의 단일 채널 캠페인 운영을 통해 발생하는 최적화 및 기여 애셋 일반 권장사항 분석 격차를 해결하여 광고 투자수익(ROAS)을 늘렸습니다.

      주요 통계

      판매가 45% 증가한 Trendyol

      터키 최대의 멀티 카테고리 전자상거래 회사인 Trendyol은 독일에서 의류 라인업을 광고하기 위해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테스트했습니다. Trendyol은 다량의 고품질 애셋을 제공하고 자동화를 통해 각 카테고리마다 최적화하며 퍼스트 파티 잠재고객을 타겟팅하여 네트워크 전반에서 노출 범위를 늘렸을 뿐만 아니라 거래 및 광고 투자수익(ROAS)의 효율도 높였습니다.

      더보기 간략히 보기

      터키 최대의 멀티 카테고리 전자상거래 회사인 Trendyol은 독일에서 의류 라인업을 광고하기 위해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테스트했습니다. Trendyol은 다량의 고품질 애셋을 제공하고 자동화를 통해 각 카테고리마다 최적화하며 퍼스트 파티 잠재고객을 타겟팅하여 네트워크 전반에서 노출 범위를 늘렸을 뿐만 아니라 거래 및 광고 투자수익(ROAS)의 효율도 높였습니다.

      주요 통계

      실적 극대화 캠페인 설정하기

      자주 묻는 질문(FAQ)

      실적 극대화 캠페인이란 무엇인가요?

      차세대 스마트 쇼핑 및 지역 캠페인인 실적 극대화 캠페인은 단일 캠페인에서 모든 Google Ads 인벤토리에 액세스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목표 기반 캠페인 유형입니다. 다른 캠페인을 보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캠페인은 YouTube, 디스플레이, Google 검색, 디스커버, Gmail, 지도 등 모든 Google 채널에서 전환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적 극대화 캠페인은 Google 판매자 센터 제품 피드와 판매자가 입력한 내용(예: 전환 목표, 예산, 잠재고객 신호, 광고 애셋)을 기반으로 모든 Google 채널에 관련성이 가장 높은 광고를 표시합니다.

      유럽의 경우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모든 비교 쇼핑 서비스(CSS)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광고는 일반 검색결과 페이지 및 CSS에서 선택한 다른 모든 위치에 게재됩니다.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사용하여 여러 목표를 타겟팅할 수 있나요?

      예, 단일 실적 극대화 캠페인으로 하나 또는 여러 목표(예: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의 전환)에 대해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추천 방법은 모든 전환 목표의 가치를 추적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실적 극대화 캠페인이 예산에 맞춰 전환 가치를 극대화합니다. 동일한 예산과 지역을 공유하는 목표인 경우 단일 실적 극대화 캠페인에서 여러 목표를 타겟팅할 수 있습니다. 다른 목표와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별도의 예산이 있는 경우 다른 목표에 대해 최적화하는 실적 극대화 캠페인을 별도로 만들 수 있습니다.

      Hello creators. 3D, Unreal engine

      0. '언리얼 엔진 이란?' (📒 Feat.'리얼타임 렌더링 이란?' '언리얼 권장 컴퓨터 사양' '듀얼 모니터') 본문

      0. '언리얼 엔진 이란?' (📒 Feat.'리얼타임 렌더링 이란?' '언리얼 권장 컴퓨터 사양' '듀얼 모니터')

      언리얼 엔진 5

      1. 언리얼 엔진 이란?

      언리얼 엔진은 '리얼 타임 렌더링 기술' 을 활용하여 현재 '게임' 뿐 아니라 '건축, 자동차 시각화, 영화 및 실시간
      방송 컨텐츠 제작, 훈련과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떠오르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2020년 버전)

      언리얼 엔진은 ' 리얼타임 기술 '을 활용하는 ' 모든 사용자' 를 위한 완벽한 개발 툴세트 입니다. 언리얼 엔진은 다양한 산업의 크리에이터에게 최첨단 엔터테인먼트, 강력한 시각화, 몰입도 높은 가상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합니다. (2021년 11월 버전. 출처 : 언리얼 공식 홈페이지)

      https://www.unrealengine.com/ko/unreal

      언리얼 엔진은 리얼타임 기술을 활용하는 모든 사용자를 위한 완벽한 개발 툴세트입니다.

      1.1 '리얼 타임' 이란?

      ▫ 여기서 '리얼 타임'은 ' 실시간 ' 이라는 뜻 입니다.
      '가상 공간'을 딜레이 없이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것이 언리얼 엔진의 엄청난 장점

      ▫ '실시간' 으로 뭘 해주는데?

      실시간으로 '렌더링' 을 해준다!

      - 컴퓨터는 object 를 계산할 때, '눈에 보이는 것(렌더링)' 과 '충돌되는 것(콜리전)' 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물론, Unreal 엔진 안에서의 이야기 이지만) by. 러셀쌤 강의

      - 결국, 렌더링은 '모델링된 것을 > 시각화 해주는 과정' 일 것.

      ▫ '실시간' 으로 눈에 보여지는게 왜 중요한건데?

      - [과거] 특정 장면, object를 '현실감 있게 구현' 하기 위해서, ' 24시간 '이 소요 되었다고 가정하면,

      - [현재] 특정 장면, object를 '현실감 있게 구현' 하는 과정이, ( 퀄리티는 유지하면서 ) ' 실시간 ' 으로 가능해짐.

      1. 시간을 절약하여, 더 CREATIVE 해지거나, 더 많은 작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효율성 증가 )

      2. 기획자, 디자이너 등이 Feedback 하는 시간이 줄었다. > so, 퀄리티가 또한 상승하게 된다. ( 효과성 증가 )

      ▫ 이게 대체 가능해진 이유가 뭔데? (옛날 프로그램은 이제 사라지는 건가?)

      - '과거' 라고 표현된 것은 '3DMAXS' 'MAYA' 등 '3D 모델링' 그리고 'UV 맵핑'을 하는 전체 과정을 의미한다.

      - 그리고, 극단적인 비교를 위한 것 이지, 여전히, 해당 모델들도 사용된다.

      - 다만, 과거와 현재가 구분되는 지점은

      1) 게임 엔진 안에서 '고퀄리티 애셋' 이 충분히 많이 구비되어 있어, 특정 장면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UV 맵핑' 에 의존하는 비중이 줄었다는 것.

      2) 게임 엔진 안에서 애셋들이 배치되는 것을 '실시간' 으로 확인 할 수 있다는 점. (과거 UV 맵핑 시절에는 시간이 오래 걸렸다고 함.)

      ▫ SO, WHAT?! 이게 시사하는 바는 뭔데?

      1. 게임 엔진 안에 'UV 맵핑 된, 고퀄 애셋' 이 존재하므로, TOOL 자체가 주는 진입 장벽이 낮아지는 느낌. > SO, 기본 TOOL 들을 얼마나 잘 사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될 것 > SO, 기획력, 스토리텔링, 디자인 역량이 중요 할 것.

      2. TOOL의 진입장벽이 낮아지는 것은 EX) 제페토에서 제페도 빌드, 캐릭터 생성을 하는 것과 비슷한 흐름 / 메타(구_페이스북) 의 호라이즌 역시 유저에게 최소한의 셋팅 요소를 제공해서,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게 제공할 것임. (👉 출처 : 2021 페이스북 AV/VR 컨퍼런스, 마크 저커버그)

      1.2 렌더링이란? (3D 그래픽 공간 이란?)

      1. 가상 세계는 ' feeling of presence' 를 달성하여, 현실 세계와 동일한 현재감을 주고자 한다.

      2. 현실 세계의 모든 object 는 '형태, 애셋 일반 권장사항 재질 및 질감, 빛, 애니메이션' 등의 정보를 갖고 있다. ( 읔. 이거 말고 분명 있을거야. 계산될 수 없는 정신, 영혼 등의 것도 있겠지? )

      3. 이 중 '형태, 재질, 질감, 빛, 애니메이션' 을 '잘 표현해주면' > 현실 세계의 object 같다고 '착각' 하여 > feeling of presence 를 느끼게 된다.

      SO) 각종 3D 렌더링 툴들은 Object 의 '형태, 재질, 질감, 빛, 애니메이션' 정보를, 종합하여 - 계산하고 - 출력 하여 - 가상세계를 보여지게 한다.

      ▫ '3D 그래픽 공간' 은 '가상의 사물의 형태, 재질 및 질감, 빛, 애니메이션 정보를 종합, 계산 한 뒤 출력되어 보여지게 된다.

      이렇게 '가상 사물의 세부 정보를 종합 - 계산 - 출격' 하는 과정을 '렌더링' 이라고 한다. (내 생각)

      3D 그래픽 공간'은 컴퓨터가 가상의 사물들을 계산하여,사물의 형태, 재질 및 질감 느낌, 빛 정보, 애니메이션
      정보 등 복잡한 내용을 계산해 결과물을 출력하는 '렌더링' 이라는 과정을 거쳐 우리에게 보여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이 '렌더링'은 애셋 일반 권장사항 굉장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데요, 언리얼 엔진은 이런 렌더링에 막대한 시간을 할
      애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우리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1.3 '실시간 렌더링' 이 혁명적인 이유 (중요성)

      기존 프로그램의 경우, ' 렌더링' 에 굉장히 '오랜 시간'이 소요. (정말로?)

      언리얼(Unity 도 동일) 의 경우, '동일 과정' 에 '막대한 시간을 들이지 않고' '실시간' 으로 시각적 결과물을 보여줌.

      1.4 '다양한 산업' 을 넣은 의의

      메타버스 관련 하여 일반 산업에 까지 영향력을 미치겠다는 의미 일 것.

      (👉 메타버스 관련 산업 이용 사례 모음)

      2. 언리얼의 전망

      다양한 산업 군에서 사용될 예정임.

      이건 추후에 좀 더 다룰 것 임.

      3. 언리얼 엔진 5

      진입장벽이 높지 않음 (한국 친화적 / 한국어 지원 완벽 / 무료 / 10억 이상의 수익을 냈을 때에만, 유료화)

      퀵셀 인수 > 13,000개의 방대한 데이터 베이스 무료로 사용 가능 / 정교한 퀄리티 SO, 직접, '모델링 및 텍스처링 없어도 가능'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