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이야기
반갑습니다. 주식투자 블로그 희망이야기입니다. 이번에는 영업이익이란? 무엇인지와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에 대한 칼럼을 준비했습니다. 회사는 수익을 내야하는 집단이기에 여러가지 수익을 얻는 경로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본업이 얼마나 탄탄하게 이익을 내고 손익 계산 방법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건설업이라면 건설에 따른 이익이 얼마나 되는지, 반도체 제조사라면 반도체 판매로 인한 이익이 얼마나 되는지처럼 본업에 얼마나 충실하고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는지는 주식 투자에 무척 중요한 요소 입니다. 영업이익이란 이것을 체크해볼 수 있는 지표이며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마진율이 얼마나 나오는지는 영업이익률 계산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저도 기업을 분석할때 참고를 많이하는 지표이며 저는 아무리 순수익이 높다하더라도 영업이익이 낮고 영업이익률이 낮은 기업은 투자를 피하고 있습니다. 대다수 단기적인 수익성과일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영업이익이란?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알아보기
영업이익을 구하는 공식은 매출액 - 매출원가 - 영업비용으로 계산이 이루어지는데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해주면 매출총이익이 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영업이익을 계산하려면 판매비, 관리비가 포함된 영업비용까지 제외해주게되면 영업이익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즉 영업이익이란 회사가 영업을 하면서 벌어드리고 사용한 모든 항목을 계산해주면 영업활동으로 수익이 얼마나 났는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죠.
절대로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어찌보면 비슷한 수익항목이니 다를게 없겠지라고 생각하실 수 있으신데 영업이익이 +이더라도 실제순이익은 - 인 경우도 있고 영업이익이 -이더라도 실제순이익은 +인 경우도 있습니다. 확실히 구분되는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경영권 분쟁으로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진칼 주식의 재무제표입니다. 영업이익은 흑자이지만 당기순이익은 적자입니다. 그 이유는 당기순이익을 계산해줄떄에는 영업이익에 영업외수익과 손실을 합산해서 계산해주기 때문입니다. 본업이 아닌 다른쪽으로 훌륭한 수입원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아니라면 되려 번돈을 까먹는 요소가 있는지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은 구해진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누고 100을 곱해 %를 구하시면 됩니다. 즉 총매출액대비 영업이익의 수준이 어느정도냐에 따라서 마진율이 얼마나 좋은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큰 상장회사부터 작은 구멍가게까지 영업이익률 계산이 빠지지 않을만큼 중요도가 높습니다. 이익률이 좋으려면 원가마진이 좋거나 판매비 관리비가 적게 운영을 한다는 의미로 다른 경쟁회사와 비교해보면 얼마나 경쟁력이 있는지 단번에 알아낼수 있습니다.
실제 투자 예시 -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계산 이용방법
위에서 소개드렸던 한진칼의 포괄손익계산서를 가져와보았습니다. 매출총이익 9,748,508,581에서 판매비와관리비(영업비용) 3,744,748,900을 뺴주면 영업이익이란 6,003,759,681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기업분석에 궁금증이 드실 손익 계산 방법 것 입니다. 도대체 판매비와 관리비가 무엇이길래 저렇게 많은 금액이 사용되는걸까요?
영업이익이란 위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판매비와 관리비에 포함되는 항목을 모두 제외 해주어야만 합니다. 제품이나 건물을 보유하고 있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가치가 줄어들어 가격을 반영한 것이 감가상각입니다. 그외의 임차료나 공과금, 광고선전비등은 이해가 쉬움으로 넘어가고 어렵게 느껴지는 단어 4가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급여 : 기업이 판매와 관리활동에 종사하는 임직원에게 지급하는 인건비
복리후생비 : 국민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식대 등
연구비 : 신제품의 연구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대손상각비 : 회수 불가능한 매출채권 상각으로 발생한 손실
따라서 기업의 영업이익이란 분석과정에서 각 제외항목들을 유심히 보셔야 합니다. 영업이익이 적어진 이유가 신제품의 출시로 인한 연구비의 급증이나 사업의 규모를 확장하기 위해 신규직원들을 많이 채용하면 판관비의 증가로 영업이익이 줄어들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래를 위한 투자가 감점요인이 되지는 않겠죠.
제가 올해 투자로 관심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삼성SDS의 재무제표입니다. 18년도 기준 매출액 100,342 / 영업이익 8,774 X 100으로 영업이익률 계산시 8.74%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매출액 규모와 반도체 업종에 비해 무척 마진율이 좋습니다. (동종업계의 영업이익률과 비교해서 얼마나 해자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꾸준히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점진함과 동시에 당기순이익도 올라가니 훌륭하네요.
기업분석에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재무제표 보는법을 참고해보세요. 투자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주식투자가이드북을 읽어보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영업이익률 계산하는 방법 및 손익계산서 구조
영업이익률 계산을 통해 특정한 회사가 일을 잘하고 있는지, 일을 잘 못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익을 잘 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는 것이지만,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방법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가장 기본이 되는 영업이익률을 계산하는 것이 첫번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아주 간단하게 영업이익률의 개념과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내용이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1. 재무제표에서 영업이익률 구하는 방법
재무제표는 크게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그리고 주석입니다. 재무제표를 보는 법에 능숙하신 분들은 모든 자료를 살펴보면서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가 좋은지 나쁜지를 구분할 수 있지만, 간단하게 영업이익률만 계산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손익계산서만 보시면 됩니다.
2. 손익계산서 구조
손익계산서의 구조는 매우 간단합니다. 하단 이미지에서 파란색 박스만 유의 깊게 보시면 됩니다.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 영업이익
- 영업이익 - 영업 외손익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법인세비용 = 당기순이익
현대자동차 손익계산서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매출액에서 생산에 소요된 비용을 제하면 매출총이익이 됩니다. 즉,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생산원가를 제외하고 남은 수익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 영업이익
판매비와 관리비는 판매를 위해 소요되는 영업활동비로 보시면 됩니다. 즉, 제조 및 생산에 들어간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매출총이익에서 이제 판매를 위해 영업비용을 사용하고 남은 수익이 영업이익이 되는 것입니다. 전체 매출액에서 생산비용과 영업활동비용이 빠졌으니 사실상 영업이익은 기업에서 생산과 판매를 하고 남은 이익(손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전체 매출액에서 영업이익의 비율이 얼마인지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 계산식 : 영업이익 / 매출액 * 100
- 예시 : 매출액이 1,000만 원이고, 영업이익이 100만 원인 경우
- 영업이익 100만원 / 매출액 1000만원 * 100 = 영업이익률 10%
3. 현대차 2021년 영업이익률 구하기
위의 방법으로 현대차의 2021년 영업이익률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매출액 : 117,610,626,000원 (약 1,176억 원)
- 영업이익 : 6,678,949,000원 ( 약 66억 원)
- 영업이익률 : 6,678,949,000원 / 117,610,626,000원 = 약 5.68%
4. 네이버 금융에서 기업 재무제표 보는 방법
기업별 영업이익률을 보고 싶을 때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하나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보고 구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습니다. 간단한 지표만을 살펴보고 싶으실 때에는 네이버 금융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금융에서 현대차 재무제표 살펴보기
상장기업의 재무제표는 네이버 금융을 통해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포스팅을 통해 영업이익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확인하셨다면, 그래도 나름 큰 소득이지 않았나 싶네요. 영업이익률 구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니, 요긴하게 잘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호랭이의 무사어판 투자 연구소
주식투자에 있어 영업이익률이란 것은 참으로 중요 합니다. 사실 매출액의 규모도 중요하지만,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인가가 더 중요하다고 저는 생각 합니다.
오늘은 가치투자를 위한 기업의 영업이익률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을 해야하는지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의 차이는 무엇인지에 대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무사어판 블로그 손님인 박카수님께서 엠플러스라는 종목의 영업이익률에 대해서 질문을 주셨는데요. 엠플러스, 신흥에스이씨라는 종목을 예를 들면서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에 대해 설명드릴테니 아래 글을 끝까지 읽어 주십시오.
기업의 영업이익이란?
또 붕어빵 이론을 들고 나와봅니다. 여러분들이 붕어빵을 판다고 칩시다. 붕어빵에 필요한 밀가루, 팥, 기름, 가스, 설탕, 전기세등은 붕어빵 판매를 위한 판매관리비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만든 붕어빵을 판 금액은 합쳐서 매출액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매출액에서 위에 설명한 붕어빵을 만들기 위한 부재료들을 뺀게 바로 영업이익 입니다.
즉 판매에 필요한 재료비와 관리비를 뺀 순수 내 이익이 바로 영업이익인 셈이죠.
영업이익률이란?
영업이익률이란 내가 붕어빵 팔아서 벌어드린 총 매출액에서 순수 내 이익이 몇%인지? 퍼센테이지로 몇인지를 나타내는것 입니다.
예를 들겠습니다. 내가 붕어빵을 팔아서 번 돈이 10만원 입니다. 이 10만원에서 붕어빵을 만들기 위해 투자된 팥값, 기름값, 가스값, 설탕값, 밀가루값 8만원을 뺍니다. 그렇게 계산을 하니 2만원 입니다.
그럼 순이익 2만원이 총매출액 10만원에서 몇프로인지를 보는겁니다. 만약 위의 공식대로라면 붕어빵 장수 호랭이의 붕어빵 영업이익률은 20%가 되는것 입니다.
2만원(영업이익) / 10만원(매출액) * 100 = 20%(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이란?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기타수익, 금융수익을 더하고, 여기에 기타비용들과 금융원가를 뺀 최종 순수 내 이익금을 말합니다.
당기순이익 이란?
위에 표는 엠플러스의 20년도 사업보고서중 포괄손익계산서 입니다. 18기를 보시면 영업이익이 10,046,553,518원 입니다. 약 100억원 인데요.
영업이익에서 기타수익, 손익 계산 방법 금융수익등을 모두 더하고 기타비용이나 금융원가등을 빼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이 나옵니다. 여기에 법인세비용을 더해주면 당기순이익이 나오는겁니다.
특히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코스닥 종목을 투자하실 때 매우 중요한데요. 코스피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코스닥에는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의 규모가 자기자본의 50%이상 최근 3년중 손익 계산 방법 2년이면 관리종목 지정 사유가 되기 때문 입니다.
영업이익률 실제 계산해보기
앞서 보여드렸던 엠플러스의 포괄손익계산서를 아래에서 다시 보여드립니다.
엠플러스 포괄손익계산서
엠플러스는 2020년도(18기)에 매출액 158,540,804,701원에 영업이익 10,046,553,518원을 기록 하였습니다. 매출액 1585억원에 영업이익 100억원 정도라 보시면 되겠죠?
그럼 앞서 설명드린 공식을 대입해서 계산해 봅시다.
10,046,553,518 / 158,540,804,701 = 0.063
0.063 * 100 = 6.3
즉 엠플러스의 20년도 영업이익률은 6.3% 인것 입니다. 전년도와 전전년도 대비 영업이익률이 100% 이상올라주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같은 저평가우량주 2차전지 관련주인 신흥에스이씨 포괄손익계산서를 보시겠습니다.
신흥에스이씨 사업보고서중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신흥에스이씨의 12기(2020년도) 영업이익률을 여러분들이 직접 계산해 보십시오. 위의 공식을 토대로 말입니다. 그럼 9.5%라는 영업이익률이 나옵니다.
영업이익률이 얼마여야 적당한걸까?
앞서 설명드린 신흥에스이씨의 영업이익률은 9.5%, 엠플러스의 영업이익률은 6.3% 입니다. 그럼 이 수치가 과연 높은걸까요? 국민우량주 삼성전자의 20년도 영업이익률이 15%가량 됩니다.
그럼 2차전지 관련주를 예로 들었으니 국민 전기차부품 대장주 삼성SDI를 예를 들어볼까요? 20년도기준 삼성SDI의 영업이익률은 5% 입니다.
LG화학의 영업이익율은 6% 입니다. 굴지의 기업들도 이정도의 수치 입니다. 물론 단순히 영업이익률을 가지고 투자를 하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주식투자는 미래의 성장성과 기대감이 숫자로 주가에 반영이 되기때문이죠.
그러나 회사가 매출액 대비 얼마의 영업이익률을 보여주고 있는지는 가치투자에 빼놓을 수 없는 하나의 중요한 지표는 확실합니다. 맹신해선 안되나 그렇다고 무시해서도 안될 중요한 지표 입니다.
영업이익률뜻과 영업이익률 계산방법 글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로그인이 필요 없는 ♡버튼 부탁드리며, 잘 보시면 포스팅내에 돈되는 좋은 자료들이 곳곳에 숨어있으니 한번 둘러보시면 도움되실 겁니다. '무릎에 사서 어깨에 판다' 언제나 무사어판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영업이익률 계산하는 방법 및 손익계산서 구조
영업이익률 계산을 통해 특정한 회사가 일을 잘하고 있는지, 일을 잘 못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익을 잘 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는 것이지만,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방법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가장 기본이 되는 영업이익률을 계산하는 것이 첫번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아주 간단하게 영업이익률의 개념과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내용이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1. 재무제표에서 영업이익률 구하는 방법
재무제표는 크게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그리고 주석입니다. 재무제표를 보는 법에 능숙하신 분들은 모든 자료를 살펴보면서 해당 기업의 손익 계산 방법 재무구조가 좋은지 나쁜지를 구분할 수 있지만, 간단하게 영업이익률만 계산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손익계산서만 보시면 됩니다.
2. 손익계산서 구조
손익계산서의 구조는 매우 간단합니다. 하단 이미지에서 파란색 박스만 유의 깊게 보시면 됩니다.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 영업이익
- 영업이익 - 영업 외손익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법인세비용 = 당기순이익
현대자동차 손익계산서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매출액에서 생산에 소요된 비용을 제하면 매출총이익이 됩니다. 즉,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생산원가를 제외하고 남은 수익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 영업이익
판매비와 관리비는 판매를 위해 소요되는 영업활동비로 보시면 됩니다. 즉, 제조 및 생산에 들어간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매출총이익에서 이제 판매를 위해 영업비용을 사용하고 남은 수익이 영업이익이 되는 것입니다. 전체 매출액에서 생산비용과 영업활동비용이 빠졌으니 사실상 영업이익은 기업에서 생산과 판매를 하고 남은 이익(손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전체 매출액에서 영업이익의 비율이 얼마인지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 계산식 : 영업이익 / 매출액 * 100
- 예시 : 매출액이 1,000만 원이고, 영업이익이 100만 원인 경우
- 영업이익 100만원 / 매출액 1000만원 * 100 = 영업이익률 10%
3. 현대차 2021년 영업이익률 구하기
위의 방법으로 현대차의 2021년 영업이익률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매출액 : 117,610,626,000원 (약 1,176억 원)
- 영업이익 : 6,678,949,000원 ( 약 66억 원)
- 영업이익률 : 6,678,949,000원 / 117,610,626,000원 = 약 5.68%
4. 네이버 금융에서 기업 재무제표 보는 방법
기업별 영업이익률을 보고 싶을 때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하나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보고 구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습니다. 간단한 지표만을 살펴보고 싶으실 때에는 네이버 금융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손익 계산 방법 금융에서 현대차 재무제표 살펴보기
상장기업의 재무제표는 네이버 금융을 통해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포스팅을 통해 영업이익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확인하셨다면, 그래도 나름 큰 소득이지 않았나 싶네요. 영업이익률 구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니, 요긴하게 잘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