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외환 앱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인천국제공항 내 하나은행 위치

[뉴스 동서남북] 북한 원-달러 환율 또 폭락

김일성 주석의 초상이 인쇄된 북한 지폐. (자료사진)

북한전문 매체인 ‘데일리 NK’에 따르면 지난 8일 북한 원화에 대한 중국 위안화 환율은 660원으로 지난 2일(965원)에 비해 32% 폭락했습니다.

같은 날 원-달러 환율도 5천990원으로 엿새만에 16%가량 떨어졌습니다.

북-중 국경 지역의 환율과 물가와 관련해 일본의 북한전문 매체 ‘아시아 프레스’도 비슷한 변화를 전하고 있습니다.

이 매체에 따르면 6월 4일 기준 1위안에 970원이던 환율이 650원으로 33%나 폭락했습니다. 또 1달러에 6천700원이던 달러화 환율도 5천500원으로 18% 떨어졌습니다.

북한의 환율은 지난 8개월간 두 차례 폭락했습니다. 지난 몇년간 8천원 선을 유지했던 원-달러 환율이 지난해 10월 말 6천500원으로 20%가량 떨어진 데 이어 올 6월 초 또다시 16%나 하락한 겁니다.

미국의 북한 경제 전문가인 그레이스 오 조지아주립대 교수는 북한 당국이 강력한 외환 통제에 나선 것같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그레이스 오 교수] ”There is some sort of artificial controlling of currency value, government. ”

환율이 폭락했다는 것은 북한 돈의 가치가 올라갔다는 뜻입니다.

환율은 통상 한 나라의 경제력이나 경제 상황을 반영합니다. 경제가 좋으면 돈의 가치가 올라가고, 반대로 경제 사정이 나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그런데 북한의 경우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겁니다.

북한 경제는 지금 국제사회의 제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그리고 잦은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극심한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북한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 정상적입니다. 그런데 돈의 가치가 오르는 (환율 하락)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환율 폭락 배경에 북한 당국의 정책적 개입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들은 북한 당국이 크게 세 가지 이유에서 환율 문제에 개입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외화 확보입니다. 북한은 2018년부터 3년간 기존의 외화 보유고를 활용해 제재를 견뎌왔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외화 보유고가 바닥을 드러낸 상황입니다.

따라서 환율 개입을 통해 주민들과 돈주들이 갖고 있는 달러화와 위안화를 흡수하려 한다는 겁니다. 한국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조한범 박사입니다.

[녹취: 조한범 박사] ”울며겨자 먹기로 주민들은 달러를 팔아야 하는 상황이므로 북한 당국으로서는 싼 값에 달러를 국가재정으로 흡수할 수 있는 거지요.”

또 다른 목적은 물가안정입니다. 지난해 1월 북-중 국경이 봉쇄되면서 중국에서 수입되던 조미료, 설탕, 밀가루, 식용유 가격이 5배 이상 폭등했습니다.

한국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지난해 초 1kg에 6천원대였던 설탕 가격이 2만7천800원으로 올랐고, 1만6천500원이었던 조미료는 7만5천900원으로 폭등했습니다.

주민들이 매일 사용하는 생필품인 이들 수입품의 가격 오름세를 방치할 경우 민심이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북한 돈의 가치를 올려 물가를 안정시키려는 의도일 수 있다고, 그레이스 오 교수는 말했습니다.

[녹취: 그레이스 오 교수] “If they import one kilo of sugar from China, North Korean Won price is cheaper…”

세 번째는 시장에 대한 북한 당국의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북한 원화는 지난 2009년 11월 화폐개혁을 계기로 시장의 신뢰를 잃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당시 북한 당국은 구화폐와 신화폐를 100대 1로 강제 교환했는데 모든 돈을 바꿔준 것이 아니라 1인당 10만원으로 제한했습니다.

따라서 100만원을 갖고 있었던 사람은 90만원이 `휴지조각'이 됐습니다.

한국의 북한경제 전문가인 동용승 굿파머스 사무총장은 당시 달러를 갖고 있던 사람은 괜찮았지만 북한 돈을 갖고 있던 사람들은 피해를 봤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동용승 사무총장] ”당시 달러를 갖고 있었던 사람들은 영향을 안 받았고 북한 돈을 갖고 있었던 사람들이 피해를 봤죠, 조금만 바꿔줬기 때문에…”

이를 계기로 주민들은 북한 돈 대신 달러화나 중국 위안화를 선호하는 것은 물론 장마당에서도 외화가 쉬운 외환 앱 쉬운 외환 앱 널리 쓰이게 됐습니다.

북한 당국은 자국 화폐가 외면을 받자 지난 연말부터 외화 사용을 금지하고 나섰습니다.

지난해 10월 말 평양 주재 러시아대사관은 ‘페이스북’을 통해 북한 당국이 평양의 소매점에서 달러화나 (전자 외화 선불카드인) ‘나래카드’를 받지 않고 원화로 지불할 것을 요구했다고 전했습니다.

미국의 북한경제 전문가인 윌리엄 브라운 조지타운대 교수는 이번 환율 폭락도 외화 대신 북한 원화를 쓰게 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윌리엄 브라운 교수] ”How they control market, selling Dollar, selling Yuan…”

하지만 북한 당국이 이런 인위적 조치로 원화의 가치를 끌어 올리고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을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윌리엄 브라운 교수는 몇 달 정도는 몰라도 6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이런 정책을 고수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윌리엄 브라운 교수]”They can force it a little while but not more than six months..”

무엇보다 달러화 또는 위안화를 갖고 있는 돈주와 주민 입장에서 보면 새 환율은 ‘손해’를 의미합니다.

기존의 돈주와 주민들은 과거 1 달러에 8천원을 지불하고 달러화를 사들인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지금 당국의 방침대로 1 달러를 쉬운 외환 앱 5-6천원에 팔면 달러당 3-4천원의 손해를 보는 셈입니다. 따라서 급한 경우가 아니면 갖고 있는 달러화를 내놓지 않을 공산이 큽니다.

북한의 환율 폭락을 외화난이 한층 심각해졌다는 신호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북한 당국은 환율을 비롯한 시장활동을 크게 통제하기 않았습니다. 그러다 지난해부터 외화난이 심해지면서 환율을 인위적으로 통제할 수밖에 없게 됐다는 지적입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가을께 북한의 외화 돈줄이 마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중국의 대외무역을 관장하는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북한의 대중국 수입액은 26만 달러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전 달인 9월의 수입액(1천888만 달러)에 비해 무려 99% 감소한 겁니다.

또 올 2월 말을 기해 불법 해상 환적을 통한 정제유 밀반입도 중단됐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과거 중국에서 석탄무역업에 종사했던 탈북민 이현승 씨는 외화난으로 인해 석유 수입도 사실상 중단된 것같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탈북민 이현승 씨] “외화가 없으니까 석탄 수출이 줄어든 것 때문에 석유를 사올 수 있는 외화가 줄어듭니다. 그래서 수입량이 줄어들었지 않나 쉬운 외환 앱 쉬운 외환 앱 생각합니다.”

북한은 지난 3년간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에 비교적 잘 버텨왔습니다. 제재 와중에도 밀가루, 비료, 담배, 술 등 매년 20억 달러 상당의 물품을 중국에서 수입했습니다.

슬기로운 자본주의 생활법

환전가능한 통화는 아래와 같이 아시아 5개 / 유럽 3개 / 북미,오세아니아 4개로 총 12개입니다.

기본적으로 달러는 90% / 유로와 엔화는 80% 환율우대가 되며 토스에서 처음 환전하시는 분들은 1회에 한해서 토스지원으로 100% 환율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환전할 금액을 입력하시고 [다음]을 눌러주세요.(최대 한화로 100만원까지 가능)

달러와 원화 중에 원하는 쪽으로 입력하면 자동으로 환율계산이 되기 때문에 달러를 맞추기 위해서 몇번씩 원화를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사소한 기능들이 정말 사용자 입장에서는 좋은 부분인 것 같네요^^

저는 이미 지난 여름휴가 때 환전을 한번 사용해서 90% 환율우대로 나오네요. 그래도 90% 환율우대도 현재 저희가 받을 수 있는 최고 환율우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 신청한 외화를 수령할 장소를 선택합니다.

토스는 하나은행과 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환전신청을 하면 하나은행에 방문해서 수령이 가능합니다. 하나은행 같은 경우,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직장인분들은 점심시간에 잠깐 방문하셔도 됩니다. 아니면 마음 편하게 출국날 공항에 방문하여 수령해도 됩니다^^

지도도 나오기 때문에 안심하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5. 수령일을 선택 / 최종환전내용 확인 후 송금하면 끝입니다.

은행 영업시간 안에 환전 신청하면 신청당일날도 외화수령이 가능한 점이 장점입니다. 직장인분들은 오전에 신청하고 오후에 하나은행으로 수령하러 가면 됩니다.(신분증은 필수입니다^^)

기본적으로 인천국제공항에 있는 하나은행 전지점에서 외화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만 수령가능 시간이 지점마다 차이가 있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수령가능시간 : 06:00 ~ 21:00, 365일 운영, 24시간 운영지점도 존재)

하지만 출국장 안에 입점한 하나은행에서는 수령이 불가하니 꼭 그전에 외화수령 후에 출국장으로 입장해야한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인천국제공항 내 하나은행 위치

아직도 많은 분들이 은행을 방문하여 환전을 하고계시고 환율우대도 최대로 받고있지 못하고 계신대요. 토스 환전 서비스를 이용해서 쉽고 환율우대도 최대로 받아보시면 어떨까요?? 여행 전부터 이런 소소한 행복이 있다면, 여행이 더욱 즐거워질 것 같네요. :)

토스 환전과 관련하여 주로 질문하시는 내용들을 정리하여 전달드리면서 마무리하겠습니다.

Q> 당일 환전, 당일 수령이 가능한가요?

A> 기본적으로 수령하려는 지점의 영업시간 내에 신청하면 당일 수령이 가능합니다. 그 외의 시간에 신청하시면 익영업일 수령할 수 있습니다.

쉬운 외환 앱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하나은행, 쉬운 외화매매 서비스 '하나 FX마켓' 오픈

  • 기자명 용원중 기자
  • 입력 2022.07.07 16:57

SNS 기사보내기

하나은행이 바일뱅킹 앱 ‘하나원큐’에 누구나 쉽게 외화 매매를 통한 환테크를 경험할 수 있는 '하나 FX 마켓' 서비스를 시행한다.

사진=하나은행

최근 환율의 등락폭이 확대됨에 따라 환테크에 대한 니즈를 가진 고객들에게 보다 쉽고 재미있게 환테크를 경험하고 높은 우대환율을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하나은행은 '하나 FX 마켓'을 통해 ▲외화 즉시 및 예약 매매 거래 ▲외화바꾸기(이종통화간 매매 거래) ▲환율 알림 ▲외환 주요뉴스 ▲FX커뮤니티 등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타은행/증권사 원화계좌와 하나은행의 외화계좌간 별도의 수수료 없이 외화 매매거래가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위젯 기능을 통해 외화거래 시 실제 적용되는 환율을 앱 실행 없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나 FX 마켓'에서 거래 가능한 통화는 미국달러화(USD), 유럽유로화(EUR), 일본엔화(JPY)등 총 27개 통화이며 외환시장 마감 이후에도 미국달러화, 유럽유로화, 일본엔화는 23시50분까지 외화 매매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그 외 통화는 20시까지 거래 가능하다.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9월말까지 출시 이벤트를 진행한다. ▲FX마켓 누적 거래금액 상위 3명 아이패드에어 ▲이벤트 기간 거래손님 1000명 추첨 1만 하나머니 ▲SNS에 ‘FX마켓 거래인증’ 손님 100명 추첨 달러북 ▲FX마켓 가입 시 미 달러화 기준 80%, 일본엔화 기준 50% 이상 환율 우대를 제공한다. 타임세일, 출석체크 등 환율우대를 파격적으로 제공하는 이벤트도 수시로 진행할 예정이다.

경제적 자유를 준비하는 개발자

현지 국가의 화폐로 환전을 해야 하는데요, 사설 환전소, 증권사, 개인 직거래 등 여러 가지 환전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가장 접근이 쉬운 방법은 바로 은행에 방문해서 환전을 하는 것입니다.

은행에 방문하면 본인확인을 하고 자신의 계좌에서 바로 환전을 해서 손쉽게 외화현찰을 가져갈 수 있죠.

한편, 요새 은행들은 여러가지 간편 이체 앱을 내놓고 있는데요, 이 간편 이체 앱에서 환전을 할 경우 환전수수료를 최대 90%까지 우대해주는 서비스도 하고 있는 곳이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작성했던 글 중에 국민은행에서 운영하는 "리브"라는 앱에서 환전하면 환전 쉬운 외환 앱 수수료를 90% 우대해주는 행사를 하고 있어서 소개했던 적이 있는데요.

혹시 관심있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 부탁드립니다.

환테크, 투자 등과 같이 여러 사유로 외화를 보관해야 할 때가 있는데요,

환전한 외화를 외화통장에 넣고 싶다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외화 실물을 들고 은행에 가서 자신의 외화통장으로 입금한다.
  2. 인터넷뱅킹 앱으로 원화통장에서 외화통장으로 환전하며 송금한다.

언뜻 보기에는 1번 방법이 환전 수수료가 비쌀 것 같지만, 아닙니다.

같은 국민은행에서 운영하는 환전서비스라도 메뉴에 따라 환전수수료가 차이가 크게 발생합니다.

"KB스타뱅킹"앱과 "리브"에서 환전을 할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이 두 앱에서 환전해서 외화통장에 입금할 때 얼마나 수수료가 차이 나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전수수료 비교

글 작성 시각 기준으로, 쉬운 외환 앱 네이버 검색에서 확인한 "현찰 살때" 미국 달러 가격은 1,000원당 1,172.66원입니다.

국민은행 외화입출금통장 입금할 때

국민은행에 외화통장을 보유하고 있을 때 자신의 원화통장에서 외화통장으로 돈을 입금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자동으로 해당 통화로 환전하게 되는데요, 쉬운 외환 앱 얼마나 환전 수수료가 드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B스타뱅킹 앱에서 외화계좌조회를 누르면 "입금" 버튼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외화통장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원화를 환전하여 입금할 수 있습니다.

$1당 1,160.77의 환율로 외화통장에 입금되는군요.

환전 수수료는 현찰 살 때 기준으로 약 60% 우대받은 금액입니다.

리브 앱에서 환전할 때

국민은행에서 운영하는 간편이체 서비스인 "리브"앱에서 환전이 가능합니다.

리브 앱에서는 $1당 1,155.02원으로 환전이 가능합니다.

환전 수수료는 현찰 살 때 기준으로 90% 우대받은 금액입니다.

만약 $1000을 환전한다고 가정하면, 리브 앱에서 하는 것이 5,750원을 아낄 수 있겠네요.

수수료가 작아보이지만, 기본적인 시드가 커진다면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인 것 같습니다.

주요 사항 정리

위에서 국민은행앱에서 외화통장에 입금할 때와 리브 앱에서 환전할 때의 수수료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주요 사항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은행에 방문할 시간적인 여유가 된다면, 리브 앱에서 환전하는 게 좋아 보이네요.

저는 리브앱에서 환전해서 외화통장으로 입금한 뒤, 이 외화를 증권사에 이체해서 투자하고 있습니다.

증권사에서도 환전할 수 있지만 실물통장에 찍히는 외화로 투자 내역을 관리하는 게 더 좋더라고요.

증권사로 이체하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키움증권으로 실물 달러 이체하기] 잠자고 있는 돈을 투자해요

해외여행이나 출장을 다녀오면 미국 달러가 남기도 합니다. 남은 외화가 많으면 은행에 방문해서 다시 원화로 환전할 텐데요, 소액이라면 환전 수수료가 부담일 수 있죠. 국민은행 외화통장이 �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