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자와 다케시 라인 대표이사 사장.
라인링크는 이데자와 다케시(Idezawa Takeshi) 라인 대표이사 사장(CEO)(사진)재임 기간 만들어졌다. 베스트셀러│금융과 IT의 만남을 보여주는 서적,
핀테크란 말 그대로 '금융'을 의미하는 Finance의 FIN과 '기술'을 의미하는 Technology의 TECH의 합성어로 금융과 IT기술을 접목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금융창구에서만 이루어졌던 서비스가 모바일, SNS, 빅데이터 등의 새로운 IT기술 등과 접목하여 새롭게 만들어진 서비스를 말하기도 하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조금 더 특별하고 차별호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곧 기술기반 금융서비스의 혁신을 의미하기도 하다.
시대가 변하면서 핀테크의 시대도 변하고 있다.
- Fintech 1.0 : 무인자동화기기(ATM)의 등장
- Fintech 2.0 : 인터넷뱅킹의 출현
- Fintech 3.0 :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금융거래가 가능한 세상
이런 핀테크 환경에서 등장한 것 중 하나는 바로 가상화폐이다. 그 중 가장 널리 퍼진 비트코인은 지불 및 통화가치 수단으로써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 세계 약 10,000여개의 가맹점에서 비트코인으로 결제가 가능할 정도로 비트코인의 확장세는 커지고 있다.
비트코인은 전자통화의 일종으로 컴퓨터로 만들어 보유한다. 통화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따로 있지 않고, 유로처럼 실제로 찍어내지도 않는다. 전 세계 사람들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수학문제를 풀어 비트코인을 만드는데 이것을 비트코인 생산(마이닝)이라고 한다.
비트코인은 채굴자가 캐낼 수 있는 양이 2,100만 비트코인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마이닝을 많이 한다고 해서 비트코인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비트코인은 모든 거래를 저장하는 블록체인을 통해서 이중결제 차단이 가능하다.
블록체인이란 '공공거래장부'라고도 부르며 가상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는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방식이었다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하여 데이터의 위조를 막는 방식이다.
블록체인은 거래가 성사 될 때마다 Capital Markets) 미디어 생겨나는 모든 기록을 '마이닝'(개래의 기록을 증명하는 과정)을 통해 기록하는데, 10분간 일어난 모든 기록의 묶음을 블록으로 형성한다. 이 기록의 보관은 전 세계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든 컴퓨터에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중앙집중화된 거래장부가 없기 때문에 해킹 또한 불가능 하다.
이렇게 핀테크 3.0 시대에서의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은 끈끈하게 엮여있다.
오늘날 '모바일 3.0' 이라는 불리는 포스트 모바일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이제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콘텐츠의 유통 및 소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활용해 공공업무,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콘텐츠 소비활동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3.0'시대가 시작됐다. 바로 이 '모바일 3.0'이 '핀테크 3.0'의 모태라고 할 수 있다.
- 핀테크의 바이블, 페이팔
2013년 기준 가입고객 수는 1억 4천만 명, 매출액은 66억달러로 2008년 이후 각각 평균 20, 29% 성장했다. 페이팔은 중앙집금은행을 두고 가상계좌를 만들어 페이팔에 가입한 전 세계 회원 누구나 손쉽게 송금할수 있고, 온/오프라인에서도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이다. 최근 핀테크 기업들이 개발한 송금/지급 결제서비스들은 페이팔의 모델을 근간으로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페이팔은 전 세계 핀테크 역사에 있어 하나의 바이블이라고 할 수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글로벌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는 2015년 4,311억 달러에서 2017년 7,210억 달라로 커지고,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trategy Analytics)는 NFS 방식의 모바일 결제시장 2020년까지 소매업 부분에서만 1,300억 달라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핀테크 3.0 책에서는 각 핀테크와 함께 등장한 Capital Markets) 미디어 기업 및 각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보여주고, 작가가 직접 사용해 보는 후기까지 생생하게 담겨있는 책이다.
또한 지금까지 우리가 접했던 주요 핀테크 자료들은 해외 시장과 관련된 것들이 대부분이었으나, 국내 핀테크 산업 전반에 대한 정보 및 시장환경도 많이 담겨 있다.
IT라는 어려운 용어를 이해하기 쉽게, 그리고 핀테크와 관련된 용어뿐만 아니라 일반 경제경영과 관련된 전문용어를 주석으로 달아 알기 Capital Markets) 미디어 쉽게 설명이 되어 흥미도도 높았던 책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열풍이 전 세계를 휩쓸면서 국내에서도 코인 산업의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 문제는 국내 당국이 가상자산 공개(ICO)를 유사수신 행위로 간주함에 따라 해외를 통한 우회상장이나 거래소 공개(IEO) 등을 통해 일명 '잡코인'이 대거 거래소에 입성, 난립하고 있다는 점이다. 옥석 가리기가 중요해진 시점에서 더벨은 차별화를 추구하는 국내 코인사업자들의 면면을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1년 06월 25일 07:5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08년 나카모토 사토시가 세계 최초의 가상자산 '비트코인(BITCOIN)'을 발표한 뒤 수많은 프로젝트가 쏟아지며 가상자산 시장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했다. 13년이 지난 지금 대부분의 가상자산은 실효용보다 투자 수단 혹은 투기 수잔으로만 여겨지는 게 현실이다.
네이버의 자회사 라인이 만든 라인링크(LN)는 이같은 비판에서 자유로울까. 라인링크는 투자수단이라기보다 블록체인 생태계를 일상 생활에 침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탄생했다. 자상자산공개(ICO)를 별도로 진행하지 않고 자체 거래소에서만 거래하도록 만든 이유도 여기에 있다.
◇네이버가 만들면 '가상자산'도 다르다
2018년 8월 라인은 최초 자체 개발 가상자산인 라인링크와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링크체인(LINK Chain)을 공개했다. 기존 가상자산과 달리 ICO 대신 라인 생태계 내 특정 서비스 이용을 통해 보상으로 획득하는 유저 보상(Reward) 개념을 택해 주목을 받았다.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 대표이사 사장.
라인링크는 이데자와 다케시(Idezawa Takeshi) 라인 대표이사 사장(CEO)(사진)재임 기간 만들어졌다.
그는 가상자산이 투자의 수단이 될수록 가상자산의 시가총액이 성공의 척도가 되고, 이는 결국 블록체인 생태계에 기여하는 이들을 소외시켜 기술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 판단했다.
라인링크는 투자자 Capital Markets) 미디어 중심이 아닌 모든 사람이 접근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생태계를 구축하도록 고안됐다. 라인링크는 라인의 블록체인 생태계에 참여해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이에 대한 보상 수단 개념이다. 라인링크가 라인 생태계 내 주요 통화 역할을 해 자연스레 규모의 경제를 창출하도록 만드는 구조다.
◇'LN' 전 세계 단 2곳에서만 거래 가능
라인링크는 기존 가상자산과 차별화되는 여러 특징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은 거래 가능한 곳이 미국의 '비트프론트(BITFRONT)'와 일본의 '비트맥스(BITMAX)' 단 두 곳 뿐이란 점이다.
비트프론트는 2018년 라인링크와 함께 라인이 만든 거래소 '비트박스(BITBOX)'가 전신이다. 라인은 2020년 2월 27일 글로벌 거래소 전략의 일환으로 거래소 기반을 미국으로 옮기면서 비트박스 대신 비트프론트를 운영했다. 당시 싱가포르가 지불 서비스법(Payment Services Act, PSA)를 시행하며 가상자산을 규제하기 시작한 것이 배경이 됐다.
당시 비트프론트의 운영사도 기존 싱가포르 라인테크플러스에서 라인의 블록체인·디지털 자산 자회사인 LVC 코퍼레이션 미국 지사(LVC Corporation USA)로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라인링크는 미국 달러와 가상자산간 거래가 가능해지고 다른 거래소와 오더북을 통한 연동 등을 지원하며 유동성이 늘었다.
비트맥스는 2019년 9월 일본에 설립된 가상자산 거래소다. LVC 코퍼레이션은 당시 약 8400만명의 라인 메신저 이용자가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거래소를 열었다. 비트맥스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은 라인링크(LN)를 비롯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비트코인캐시(BCH), 라이트코인(LTC) 등 총 6종류다.
비트프론트(BITFRONT).
라인링크는 발행량에도 제한이 있다. 2018년 9월 3일 최초 발행 이후 약 3년간 발행 규모는 Capital Markets) 미디어 10억개(유저 보상 8억개, 예비 비용 2억개)로 제한되며, 그후 매년 5%씩 증가한다. 1인당 거래량과 1시간 내 거래가능한 양도 제한된다. 이 때문에 유통 가능한 10억개의 라인링크 중 실제 발행된 코인 수는 597만4105개(2021년 6월 13일 기준)에 불과하다.
모두 라인링크를 투자가 아닌 보상 수단으로서 기능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라인 생태계에 대한 기여는 사용자에 대한 보상(라인링크 지급)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발행을 제외하고 라인링크의 유통량을 늘릴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라인링크가 다른 가상자산과 다른 점은 Capital Markets) 미디어 또 있다. 비트프론트에서 라인링크를 보유한 사용자를 위한 이자(복리) 상품을 제공한단 사실이다. 이 상품은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예금의 형태로 보유만으로 이자가 쌓이도록 설계됐다. 라인링크의 유통량 자체가 적은 만큼 상대적으로 큰 거래액 변동성 리스크를 헷지(hedge)하기 위한 일종의 도구일 것으로 해석된다.
(왼쪽부터) 라인링크(LN)의 상징과 라인링크 발행현황(2021년 6월 13일 기준).
아케인리서치
아케인리서치는 비트코인과 미국 증시의 높은 상관관계가 당분간 구조적 변화를 맞이하지 않을 거라고 전망하며 오는 9월 13일과 21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 주목하라고 전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거시경제의 역풍이 심해질 것이며 물가상승률은 통제되지 않을 거라는 점에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기조가 당분간 선회하지 않을 거라는 게 아케인리서치의 의견이었다.
아케인리서치는 가상화폐 전문 투자운용사인 갤럭시디지털(Galaxy Digital)의 자료를 인용해 현시점이 비트코인을 매수하기 매력적인 시기로 언급했다.
아케인리서치는 비트코인과 미국 증시의 상관관계가 여전히 높다고 설명했다(사진=아케인리서치)
갤럭시디지털은 지난 8월 28일(현지시간) 자체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이 200주 이동평균선과 실현 시가총액을 전체 코인 공급량으로 나눠 계산한 실현 가격보다 낮은 값에 거래되고 있다”라며 “현재 상황은 역사적으로 가격 강세를 전망하는 장기투자자들에게 매수 기회 구간으로 여겨졌다”라고 말했다.
현시점을 기준으로 아케인리서치가 제시한 비트코인 시세 단기 및 중기 상승 목표가는 각각 2만 1,652달러(한화 약 2,938만 원)와 2만 5천 달러(한화 약 3,392만 원)였다. 현재 가격이 무너질 경우의 지지선은 1만 7,708달러(한화 약 2,403만 원)와 1만 7,256달러(한화 약 2,342만 원)였다.
2만 1,652달러(한화 약 2,938만 원)와 2만 5천 달러(한화 약 3,392만 원)는 갤럭시디지털이 제시한 단기 및 중기 비트코인 상승 목표가였다(사진=갤럭시디지털)
한편 갤럭시디지털은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및 가상화폐 보유 비중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오는 9월 15일(현지시간) 예정된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에 따라 가상화폐 시장 내 자본이 들어올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비트코인과의 만남
[한국엠엔에이경제신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우리 삶의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돼 생활이 더욱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oT(사물인터넷)는 책상, 자동차, 가방, 나무, 애완견 등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비스다. 두 개 이상의 사물이 서로 연결돼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가스레인지나 보일러, 실내등 등이 제대로 꺼졌는지 미처 확인하지 못한 채 외출했다고 가정해보자. 집이 IoT와 연결돼 있다면 IoT는 집 안에 사람이 있는지 스스로 인지한 후 자동으로 전원을 끈다.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스마트 오피스 등 분야에서 IoT의 도입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확장성과 보안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면 IoT에 대한 해킹 위험도 높아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oT에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2007년 첫 등장∙∙∙금융계 P2P 가능한 기술 고안
블록체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4차 산업을 주도할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이다. 위∙변조나 삭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측면에서 활용도가 높다.
나카모토 사토시(Nakamoto Satoshi)가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 때 중앙집권화된 금융시스템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P2P(개인 간 거래, peer-to-peer)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고안했다. 이후 2009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암호화폐 비트코인(bitcoin)을 개발했다.
블록체인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기반 기술로 먼저 알려졌다. 암호화폐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이나 위∙변조를 막는 기술로 활용됐다.
암호화폐 투기성 때문에 부정적으로 인식돼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디지털 화폐, 송금, 보험 등 금융거래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면서 관련 업계에서는 블록체인의 잠재성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IoT 기기별 보안수준 달라∙∙∙시스템 보안 위협될 수 있어
IoT 분야에서 블록체인은 주로 IoT 기기인증, 데이터 위∙변조 방지, 데이터 공유 환경구축 및 전자상거래를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IoT는 중앙처리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집중형 시스템이다. 네트워크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시스템에 연결된 IoT 기기 사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확장성 문제가 발생한다. 새로운 IoT 기기를 추가하고 싶을 때 중앙서버에 연결해야만 한다. 수집∙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각 기기별로 보안수준도 다르다. 예를 들어 보안수준이 가스레인지, 보일러, 스피커, TV, 침대 순으로 높아진다고 가정해보자. 보안수준이 가장 낮은 가스레인지의 정보가 해커에 의해 유출됐다면 나머지 IoT 기기에 저장된 정보도 유출될 수 있다. 즉, 한 개의 서버에 연결돼 있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보안에 위협이 된다. 특히 외부에서 해킹을 당하면 그 사실조차 인지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현재까지 대규모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피해 사례는 없지만 IoT 관련된 보안 문제는 여러 차례 언급되면서 Capital Markets) 미디어 업계의 경각심은 높아지는 추세다.
블록체인 기반 IoT는 기존 IoT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IoT와 기기간 P2P로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기 때문에 별도의 중앙처리시스템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새로운 기기를 연결할 때 별도의 장비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필요 없다. 데이터가 각각의 노드에 저장되기 때문이다.
출처: 픽사베이
세종 501 생활권, 지역화폐 지급받는다∙∙∙개인정보 제공 따른 보상
국내∙외 국가에서 스마트 시티(smart city)를 구축하면서 블록체인을 적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중국 인촨(Yinchuan)은 도시 내 버스요금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대체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버스요금을 낼 때 얼굴로 사람을 인식하고 탑승자의 계좌에 자동으로 요금이 차감되는 방식이다.
두바이(Dubai)는 2016년 ‘글로벌 블록체인 의회’(Global Blockchain Council)를 설립했고 블록체인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주요 방안은 병원에서의 환자이력 등 중요한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관리해 위∙변조 위협을 막고 간편한 거래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광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방안도 있다. 관광객들에게 블록체인 기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해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에서도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시티가 구축된다. 지난해 2월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스마트 시티 ‘세종 5-1 생활권’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 등 총 7개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계될 예정이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