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린저 밴드 설명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 (Bb)는 1980년, 금융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John Bollinger에 의해 만들어졋습니다. Bollinger Bands는 기술적 분석 (TA)을 위한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는 시장의 변동성이 높고 낮음 및 과매수 또는 과매도 여부를 나타냅니다.
BB 지표의 주요 기능은 가격이 평균값 주변으로 분산되는 방식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인디케이터는 상위 대역, 하위 대역 및 중간 이동 평균선 (중간 대역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고, 두 가지 측면 밴드 는 변동성이 높을 때 팽창하고(중간 라인에서 멀어짐) 변동성이 낮을 때 수축 ( 중간 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시장 가격 이동에 반응합니다.
표준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 공식은 중간 선을 20 일 단순 이동 평균 (SMA)으로 설정하고, 상위 및 하위 대역은 SMA와 관련하여 시장 변동성 (표준 편차라고 함)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 지표의 표준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간 선 : 20 일 이동 평균 (SMA)
상단 밴드 : 20 일 SMA + (20 일 표준 편차 x2)
하단 밴드 : 20 일 SMA - (20 일 표준 편차 x2)
표준 BB 설정은 20 일의 기간을 확인하고 중간 및 아래쪽 밴드를 가운데 선에서 2 표준 편차 (x2)으로 설정합니다. 이것은 가격의 적어도 85%가 두 밴드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지만 서로 다른 필요와 거래 전략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에서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를 사용하는 방법은?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는 전통적으로 금융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암호화폐(cryptocurrency)거래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물론 BB 지표를 사용하고 해석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를 독립 지표로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구매 / 판매의 직접적인 지표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 대신 BB는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와 함께 사용해야합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 지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 할 수 있는지 같이 생각해봅시다.
가격이 이동 평균을 상회하고, 상위 볼린저 밴드를 초과하는 경우, 이는 아마도 시장이 과매수 상태라는 것으로 예측하기에 안전한 상태임을 뜻합니다. 또는 가격이 상위 밴드에 여러 번 접촉하면 상당한 저항 수준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특정 자산의 가격이 현저히 떨어지고 하위 밴드를 여러 번 초과하거나 접촉하는 경우, 시장은 과매도 상태이거나 강한지지 수준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자는 BB (다른 TA 지표와 함께) 를 사용하여 판매 또는 구매 목표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는 시장이 과매수 및 과매도 조건을 나타냇던 이전 포인트에 대한 개요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 팽창과 수축은 변동성이 높거나 낮은 순간을 예측할 때 유용 할 수 있습니다. 밴드는 자산의 가격이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중간 선에서 벗어나거나 가격이 변동성이 줄어들면 축소 될 수 있습니다 (수축).
따라서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는 시장의 변동성을 분석하고 향후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단기 거래에 더 적합합니다. 일부 거래자는 밴드가 과도하게 팽창했을 때 현재 시장 추세가 조정 국면에 돌입햇거나 또는 추세 반전에 가까울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또는 밴드가 좁아지는 경향이 뚜렷해지면 트레이더들은 시장이 폭발적인 움직임을 준비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항상 그런 것은 아님), 시장 가격이 옆으로 움직일 때, BB는 중간에 단순 이동 평균선쪽으로 좁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낮은 변동성과 좁은 편차는 큰 폭발적인 이동보다 선행하며, 변동성이 회복되는 즉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와 Keltner Channels 채널의 비교
SMA 및 표준 편차에 기반한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와 달리 KC (Keltner Channels) 지표의 최신 버전은 ATR (실평균 범위)을 사용하여 20 일간의 지수 이동 평균 (EMA) 채널 폭을 설정합니다. 따라서 Keltner Channel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간 선 : 20 일 지수 이동 평균 (EMA)
상단 채널 라인 : 20 일 EMA + (10 일 ATR x2)
낮은 밴드 : 20 일 EMA - (10 일 ATR x2)
일반적으로 Keltner Channel 지표는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보다 좁은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BB보다 트렌드 반전 및 과매 수 / 과매도 시장 상황을보다 명확하고 분명하게 파악하는 데 더 적합 할 수 있습니다. 또한 KC 지표는 일반적으로 BB보다 먼저 과매수 / 과매도 신호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는 KC와 비교했을 때 팽창과 수축이 훨씬 넓고 명확하기 때문에 시장 변동성을 더 잘 나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더욱이, 표준 편차를 사용함으로써, BB 인디케이터는 폭이 넓어 초과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속임수적인 신호를 제공 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BB와 KC 사이에서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가 더 인기있는 지표이기는 하지만 두 지표는 모두 좋은 지표이며, 특히 단기 트레이딩 설정에 유용하며 보다 신뢰할 수있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함께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 %B (%B)
볼린저 밴드 %B 또는 퍼센드 밴드위드쓰 (%B)는 표준 볼린저 밴드 지표에서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볼린저 밴드는 종목의 가격과 연관되어 그려지는 세개 선의 밴드를 만드는 변동성 지표입니다. 중간 선은 대개 20 일 단순이동평균입니다. 상단 및 하단 밴드는는 SMA (중간 선) 위아래로 대개 2 표준편차가 됩니다. %B 지표가 하는 것은 그 밴드에 대하여 가격이 어디에 있는지를 수량화 또는 시각화하는 것입니다. %B 는 추세 및 트레이딩 시그널을 찾아내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
볼린저 밴드 %B 에 대한 자세한 것은 여기를 읽어 보십시오.
This is an revised Open Public version of Vdub Bollinger Band %B reversal indicator. This version includes optional Divergence Finder with selectable channel width, optional Market Session time highlighting and optional Binary Option expiry markers.
This indicator is almost identical to "Bollinger Bands %BB" except its calculations are performed in logspace and it adds an optional EMA line (after LazyBear's idea).
Entry Signal when %B Crosses with SMA and this is more meaningful if it supports colored bars. Black Bar when prices go down and volume is bigger than 150% of its average, that indicates us price action is supported by a strong bearish volume Blue Bar when prices go up and volume bigger than 150% of its average, that indicates us price action.
I'm a big fan of The_Caretaker's BBWP and wanted to add it as a volatility indicator to some of my scripts, but since it is over 100 lines of code (plus spacing and comments) I wanted to find if there was a simpler way to get comparable results. SBBWP uses Pine 5 built in functions that I don't believe were available when The_Caretaker wrote BBPW. The main.
Oscillator averaging Money Flow Index and Bollinger Bands' %B Colored bars indicate buy or sell signals I have no idea if this is the right way to combine these two, but I'm gonna try it and see what happens
//This is not financial advice, I am not a financial advisor. //What are volatility tokens? //Volatility tokens are ERC-20 tokens that aim to track the implied volatility of crypto markets. //Volatility tokens get their exposure to an asset’s implied volatility using FTX MOVE contracts. //There are currently two volatility tokens: BVOL and IBVOL. //BVOL targets.
This imple script converts your chosen chart price and outputs it as a percentage in relation to the Vix percentage. If price (Blue line) is higher than 0.60 and vix (Red Line) is lower than 0. 40 then there is lower volatility and this is good for buying. If price (Blue line) is lower than 0. 40 and vix (Red Line) is higher than 0.60 then there is higher.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란?
오늘은 기술 분석 관련 용어들을 공부하면서 자주 들어봤었던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980년대에 투자 전문가인 존 볼린저 (John Bollinger)가 자신의 이름을 딴 기술 분석 도구인 볼린저 밴드를 개발하였습니다.
볼린저 밴드의 세 가지 구성 요소
- 중앙 밴드는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측정된 주식의 이동 평균에 의해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로 20일 이동 평균)
- 상위 밴드는 일반적으로 이동 평균보다 +2 표준 편차로 설정됩니다.
- 하단 밴드는 일반적으로 이동 평균보다 -2 표준 편차로 설정됩니다.
볼린저 밴드 구성 요소
먼저 단순 이동 평균을 계산합니다. 다음으로 단순 이동 평균과 동일한 기간 동안의 표준 편차를 계산합니다. 상위 밴드의 경우 이동 평균에 표준 편차를 추가합니다. 하단 밴드의 경우 이동 평균에서 표준 편차를 뺍니다.
볼린저 밴드 일반적인 값
- 단기: 10일 이동 평균, 1.5 표준 편차의 밴드
- 중기: 20일 이동 평균, 2 표준 편차의 밴드
- 장기: 50일 이동 평균, 2.5 표준 편차의 밴드
이 구성 요소는 주가의 변동에 따라 조정되며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은지, 낮은지 구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밴드 상한선과 하한선은 각각 저항선과 지지선의 역할을 하며, 밴드가 상대적으로 수평이고 주가가 상단 밴드에 반복 적으 접촉하면 주식을 과매수 상태로 인식하며, 반대로, 주식이 하단 밴드를 따라 접촉하면 주식이 과매도 상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변동성이 낮고 밴드가 좁아지면 주가가 어느 방향으로든 급격하게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것은 추세적인 움직임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밴드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분리되면 변동성이 증가하고 기존 추세가 끝날 수 있습니다.
- 가격은 밴드의 범위 내에서 튀는 B (%B) — 테크니컬 인디케이터 — 인디케이터 및 시그널 — TradingView 경향이 있어 한 밴드에 닿았다가 다른 밴드로 이동합니다. 이러한 스윙을 사용하여 잠재적인 이익 목표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격이 하단 밴드에서 반등한 다음 이동 평균 위로 교차하면 상단 밴드가 수익 목표가 됩니다.
- 가격은 강한 추세 동안 장기간에 걸쳐 밴드 범위를 초과하거나 수용할 수 있습니다.
- 가격이 밴드를 벗어날 때 강한 추세 지속이 예상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격이 밴드 내부로 즉시 다시 이동하면 추세 강도가 사라집니다.
볼린저 밴드 예
밴드 수축 (squeeze)
밴드가 좁아지면서 이동 평균이 축소되는 경우입니다. 변동성이 낮은 경우이며 향후 변동성이 증가하고 거래 기회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신호 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아웃 (breakout)
주가의 움직임은 약 90%가 밴드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주가가 상/하위 밴드에서 벗어나는 경우는 주요 이벤트가 있는 경우이며 향후 가격의 추세나 범위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투자자들이 자주 하는 실수는 브레이크아웃을 매수/매도 신호로 믿는 것입니다.
볼린저 밴드는 W 패턴 (이중 바닥 패턴)을 사용하여 두 번째 저점이 첫 번째 저점보다 낮지만 하위 밴드에 접촉하지 않고 높게 유지될 때 W-바닥을 식별합니다.
하위 밴드에 가깝거나 하위 밴드 아래에 형성될 때 발생합니다. 그런 다음 주가가 이동평균선 또는 그 이상으로 반등한 후 하위 밴드에 가깝게 낮은 가격을 생성합니다. 주가가 W의 중간 고점보다 위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주가가 새로운 고점으로 오를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W 패턴 (이중 바닥 패턴)은 기술 분석에 사용되는 패턴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약세 추세가 끝날 때 발생합니다. 이중 바닥 이후 일반적으로 강세 랠리를 추론할 수도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 W-bottom
볼린저 밴드에서 와 함께 M 패턴 (이중 탑 패턴)을 사용했습니다. M-Top은 상위 밴드에 가깝거나 위쪽으로 움직이는 반응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그런 다음 가격은 이동평균선 또는 더 아래쪽으로 하락한 후 더 높은 가격을 형성하지만 상위 밴드를 접촉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향후 하락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 M 패턴 (이중 탑 패턴)은 기술 분석에 사용되는 패턴 중 하나로 투자자들이 강세 추세에서 최종적으로 이익을 얻으려고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약세 B (%B) — 테크니컬 인디케이터 — 인디케이터 및 시그널 — TradingView 추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 M-bottom
볼린저 밴드는 거래자에게 가격 변동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하나의 지표일 뿐입니다. 존 볼린저 는 보다 직접적인 시장 신호를 제공하는 2~3개의 다른 비상관 지표 (이동 편균 발산/수렴 (MACD), 상대 강도 지수 (RSI))와 함께 사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MACD와 RSI가 궁금하신 분은 지난 포스팅 이동 평균 수렴 및 발산 (MACD), 상대 강도 지수 (RSI)을 참고해 주세요.)
오늘은 기술 분석에서 사용되는 볼린저 밴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항상 드리는 말씀이지만, 투자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다양한 정보와 여러 가지 지표의 분석을 종합한 후 최종 결정은 본인의 몫임을 명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젠포트에서 볼린저밴드 조건식 만들기
이 말 또한 들어보았을 것이다.
우리가 주가의 저점과 고점을 판단할 때
볼린저밴드를 많이 참고한다.
예전엔 엔벨로프를 B (%B) — 테크니컬 인디케이터 — 인디케이터 및 시그널 — TradingView 많이 봤는데
오차가 많다보니 볼린저밴드를 선호한다.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
주가의 변동에 따라 상하밴드의 폭이 같이 움직이게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밴드 내에서 판단하고자 고안된 주가지표를 말한다. 볼린저밴드는 기존 지표들이 적절한 매매시기를 알려주지 못한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격변동띠를 탄력적으로 변화시켜 만든 지표이다.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이 지표는 대부분의 유가증권가격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중간의 이동평균선과 상단밴드 그리고 하단밴드의 세 개의 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평균선을 추세중심선으로 사용하며 상하한 변동폭은 추세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한다. 표준편차는 일정 기간의 가격에 대한 변동성 측정치이므로 가격변동이 심할 때에는 변동폭이 좁아지는 자기조정 기능을 발휘한다. 가격변동띠의 폭이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큰 상태에서 줄어들 경우에는 볼린저 밴드를 과매도・과매수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유가증권은 일정 기간 과매수・과매도 상태가 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거나 낮은지의 여부를 알면 다른 지표의 해석능력을 높여줘 거래타이밍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주가의 상대적인 가격 수준과 변동성의 확인 외에도 가격 움직임이나 기타 지표들과 결합해 시그널을 만들고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출처: 기획재정부 시사 경제용어사전
'슬기로운 주식생활' 채널(Ch+)을 추가하시면 주식, 코인, 경제뉴스, 시황 뿐아니라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을 드리는 관심종목까지 매일 한번에 체크!!
그럼 코스닥지수 챠트의
볼린저밴드를 한 번 보자.
12월 10일 코스닥챠트 볼린저밴드
맨 위의 선을 상단밴드[Upper]라 하고,
중간 20일 평균선[Middle]이라 하고,
맨 아래 선을 하단밴드[Lower]라 한다.
그래프로 보면 매수할 지점들을 표시했다.
하단밴드로 내려갔다가
다시 강하게 뚫고 올라올 때 상승했다.
후행성 지표라 언제 말을 맞춰도 맞긴하다.
그래도 조건에 넣는다면
상승확률을 좀 높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젠포트에서는 조건식에서
볼린저밴드 팩터를 제공한다.
상단밴드[Upper] 값은 100
중간 20일 평균선[Middle] 값은 50
하단밴드[Lower] 값은 0 으로 보면 된다.
위 그림 순서대로 값을 넣어주고,
부등호를 정해주고,
값을 입력해준다음 '매수조건 입력'을 누르면 된다.
1. 상단밴드를 돌파할 때
2. 20일선을 돌파할 때
3. 하단밴드를 돌파할 때
이렇게 세 가지 조건식을 만들어보자.
1. 상단밴드를 돌파할 때
볼린저밴드 상단 돌파
이 조건은 주가가 볼린저밴드 상단을 뚫을 때다.
그 순간을 포착하려면
매수조건식 설정은 당연히
not(before(A,1)) and A 가 되야한다.
보통 주가가 밴드상단을 뚫고
거래량을 동반하면 강한 상승을 예고 하기에
이렇게 조건식을 만들면 된다.
물론 거래량에 대한 조건식 혹은 우선순위를
넣어준다면 좀 더 디테일 할 수 있겠다.
2. 20일선을 돌파할 때
볼린저밴드 평균선 돌파
우리가 중간밴드선을 돌파할 때도
상승을 예측 해볼 수 있다.
이 매수조건식 설정 역시
not(before(A,1)) and A 로 한다.
3. 하단밴드를 돌파할 때
볼린저밴드 하단 돌파
이 조건식은 저점매수를 고려할 때
즉 계속 하단밴드를 횡보하다가
하단밴드를 뚫으며 돌파할 때를 노린다.
not(before(A,1)) and A 로 한다.
사실 밴드하단을 타고 흐르는 경우도 많다.
그렇기 때문에 꼭 돌파하는 경우를
조건으로 해야한다. 안 그러면 더 하락할 수 있다.
작년만해도 젠포트에 볼린저밴드 팩터가 없었다.
상당히 복잡한 조건식을 직접 만들어야 했었다.
다행스럽게 팩터가 만들어져서
조금 더 편하게 조건식을 만들 수 있으니
젠포트에서 '나도 이제 알고리즘 메이커 (제 16회 : 볼린저밴드)' 유튜브 영상도 참고해보자.
이 B (%B) — 테크니컬 인디케이터 — 인디케이터 및 시그널 — TradingView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공감(하트), 댓글 부탁드립니다.^^
젠포트에서 MDD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MDD 줄이는 방법을 알아보자!!
젠포트에서 MDD 줄이는 방법
1년 가까이 젠포트를 운영하면서 느낀점은 " 바보야! 문제는 수익률이 아니라 MDD야!" 이거다. 젠포트를 하면서 처음에는 수익률에 엄청 매달렸다. 무조건 고수익. MDD는 충분히 버틸 수 있으니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