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 플랫폼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20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활용해 완성도 높은 전기차를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The modular camera set-up from Photonfocus

All Photonfocus camera models are based on a well thought-out modular system that allows for quick integration of both proven and new technologies. Simply select the components needed for your inspection task to get 초고속 플랫폼 an industrial-grade camera that optimally meets your requirements.

We offer standard camera models for many applications, but in certain cases standard level components are not sufficient and a specific sensor or algorithm is needed. Based on our camera development knowledge, we are open to designing a custom camera to your specifications.

With more then 20 years experience in the field of camera and CMOS sensor design, Photonfocus is a true pioneer in the field of machine vision 초고속 플랫폼 and imaging.

Contact us and discuss your project with the modular camera experts!

ScienceON Chatbot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2012.7.1 시행)
에 의해 추후 공개로 전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과제관리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비공개 보고서를 공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 비공개 처리된 보고서의
열람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상세정보

실시간 다자참여 게임/가상현실 플랫폼 개발(초고속 정보 통신망 응용기술 개발 사업

주관연구기관 정보통신연구진흥원
Institute for Information Technology Advancement
연구책임자 최성학
참여연구자 송제석, 최용석, 유창선, 전종연
발행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 2000-08
등록번호 TRKO200500024503
DB 구축일자 2013-04-18

실시간 다자참여 가상현실 응용을 위한 범용 소프트웨어 엔진 개발을 통해 향후 실용화될 초고속 정보통신망 상에서의 가상현실 응용 개발을 위한 국내 기반 기술 확보에 기여함. 다자참여 초고속 정보통신망 응용을 위한 운동 기구와 게임 시스.

실시간 다자참여 가상현실 응용을 위한 범용 소프트웨어 엔진 개발을 통해 향후 실용화될 초고속 정보통신망 상에서의 가상현실 응용 개발을 위한 국내 기반 기술 확보에 기여함. 다자참여 초고속 정보통신망 응용을 위한 운동 기구와 게임 시스템의 개발을 통해 초고속 정보통신망 응용의 상업적 실용성을 검증함.

초고속 전기 모터에서 비롯된 현대차그룹 전용 전기차의 고성능 경쟁력

현대차그룹의 전용 전기차는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초고속 전기 모터를 바탕으로 고성능을 구현했다. 현대차그룹 전용 전기차의 초고속 전기 모터 기술을 소개한다.

아이오닉 5와 EV6 등 현대차그룹 전용 전기차 모델들이 유럽 올해의 차와 세계 올해의 차를 휩쓸며 ‘K-EV’ 파워를 전 세계에 과시하고 있다. 자동차 전문지, 인플루언서의 시승 영상 등을 통해서도 아이오닉 5와 EV6에 대한 호평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활용해 완성도 높은 전기차를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품 경쟁력은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위에 V2L, 800V 급속 충전 시스템 등 독보적 기술력 외에도 강력한 동력 성능을 발휘하는 초고속 모터 기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현대차그룹 전용 전기차의 초고속 전기 모터 기술을 소개한다.

현대차그룹 전용 전기차가 제공하는 고성능의 비결, 초고속 전기 모터

E-GMP 기반 전기차의 앞뒤 전기 모터에는 고성능에 대응하기 위한 현대차그룹의 전용 기술이 적용돼 있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핵심이 엔진인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차에서는 전기 모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엔진과 전기 모터 모두 자동차의 구동을 담당하는 핵심 부품으로, 전기 모터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해 전기차의 동력을 발생시킨다. 여러 자동차 제조사들이 완성도 높은 전기 모터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E-GMP 전기 모터의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전기 모터보다 회전수를 높이는 방식을 택했다. 현대차그룹의 최신 전용 전기차인 아이오닉 5와 EV6는 최고 15,000rpm의 회전수를 자랑한다. 전기 모터의 출력을 순간적으로 높이는 부스트 모드 및 더 높은 차량 속도 등으로 보다 강력한 성능을 제공하는 제네시스 GV60와 GV70 전동화 모델은 동급 경쟁 모델보다 모터 최고 회전수가 월등히 높은 고속 전기 모터(19,000rpm)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타사 전기차 모터 최고속도는 15,000~17,000rpm 내외로 추정된다)

고성능의 초고속 모터 적용으로 가속 성능은 놀라울 정도로 좋아졌다. GV60 퍼포먼스 모델은 부스트 모드를 작동시키면 출력이 490마력까지 상승해 정지 상태에서 100km/h에 도달하는 시간이 4.0초에 불과하다. GV70 전동화 모델은 E-GMP 기반의 전용 초고속 플랫폼 전기차 모델이 아닌 파생 전기차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4.2초의 100km/h 가속 시간을 자랑한다.

EV6 GT는 고성능 전기 모터를 바탕으로 슈퍼카급 성능을 발휘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현대차그룹 고속 전기 모터 기술의 정점은 현존하는 전기차 중 가장 높은 회전수를 자랑하는 EV6 GT에서 찾을 수 있다. 2022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EV6 GT의 앞뒤 초고속 플랫폼 차축에 각각 적용된 전기 모터는 최고 21,000rpm까지 회전하며, 이를 바탕으로 430kW(584마력)의 시스템 최고 출력, 740Nm의 최대 토크, 100km/h 가속 시간 3.5초, 최고속도 260km/h 등의 압도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전기 모터의 회전수와 고성능 전기차의 관계

E-GMP의 PE 시스템은 일체화된 모터, 감속기(전기차용 변속기), 인버터에 배터리가 더해져 완성된다

현대차그룹 전용 전기차에 적용된 전기 모터의 회전수가 높은 이유는 모터의 회전수와 전기차 성능 사이의 관계가 밀접하기 때문이다. 이 상관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전기차 구동계의 특성이 엔진과 기어비가 각기 다른 다단화 변속기로 구성된 내연기관 자동차와는 다르다는 사실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전기차의 구동을 담당하는 PE 시스템(Power Electric System)은 모터, 감속기, 직류에서 교류로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등으로 이뤄져 있다. 여기서 전기차의 구동에 가장 크게 관여하는 전기 모터는 회전을 시작하는 즉시 최대 토크가 발생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높은 기동 토크와 안정된 최고 출력을 기반으로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높은 동력 성능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전기차는 이러한 모터의 특성에 맞춰 변속기가 아닌 감속기를 사용한다. 변속기에서 변속단을 변경하는 경우는 고출력 필요 시 저단으로 변경하는 경우와 고속 주행을 위해 고단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전기차에서는 모터가 회전을 하는 순간부터 차를 움직이기 위한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저단 기어가 필요 없으며, 최대 15,000rpm이상 회전함으로 고단 기어도 필요 없다. 결론적으로 전기차는 주행 상황에 맞춰 ‘변속’이 아닌 ‘모터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저속부터 고속까지 모든 속도에 대응할 수 있다. EV6 GT의 모터는 최대 21,000rpm까지 회전하기 때문에 정지 상태에서 최고속도 260km/h에 이르기까지 변속기 없이 감속기만으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차의 성능을 초고속 플랫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기 모터의 토크, 출력, 최고 회전수 향상 등이 필요하며, 휠 토크와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속기 기어비 최적화가 필요하다.

현대차그룹의 전용 전기차들은 차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의 회전 속도와 감속기 기어비를 키웠다

이러한 전기차의 성능 지수를 결정짓는 휠 토크와 휠 속도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 휠 토크 ∝ 모터 토크 × 기어비
– 휠 속도 ∝ 모터 속도 ÷ 기어비

이 수식에서 휠 토크, 즉 바퀴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전기 모터의 토크에 감속기의 기어비를 곱한 값으로, 수치가 높으면 전기차의 발진 가속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휠 속도, 즉 바퀴의 회전 속도는 전기 모터의 속도(회전수)를 기어비로 나눠 얻을 수 있으며, 값이 클수록 전기차의 최고속도가 빨라진다. 간단히 말해 전기차 구동계의 모든 조건이 같은 상황에서 모터의 회전수를 높이면 주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모터의 토크가 동일한 상황에서는 감속기의 기어비를 키워 발진 가속 성능을 증대할 수 있다. 실제로 E-GMP의 전기 모터는 2세대 전기 모터 대비 최고 회전수를 약 70% 상향했고, 감속기 기어비를 33% 상향하여 모터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휠 토크 및 휠 속도 성능을 각각 20% 가량 개선했다.

EV6 GT는 현대차그룹의 다른 전용 전기차와 변속기를 공유하지만 전기 모터의 회전수를 높이는 기술을 적용해 보다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EV6 GT는 다른 E-GMP에 적용된 다른 모터 시스템보다도 초고속, 고성능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덕분에 보다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가령 EV6 GT의 모터 시스템에는 모터 고속화 설계와 듀얼 인버터 구조를 통한 고출력 시스템, 고속화 및 고성능을 대응하기 위해 냉각 성능이 강화된 내부 냉각구조 등이 적용됐다. 그 결과, 모터 고속화를 기반으로 1단 감속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모터 시스템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현대차그룹 고유의 초고속 전기 모터 기술

현대차그룹 E-GMP의 전기 모터는 여러 기술을 바탕으로 고성능과 고효율을 자랑한다

하지만 전기 모터의 회전수 향상은 말처럼 쉽지 않다. 전기 모터의 회전수를 높이려면 내구성, 냉각, NVH 관점에서 높은 설계 난이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모터 고속화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원심력 증대, 열 손실 증가, 소음 및 진동 확대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과 기술이 필요하다. 여러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기차를 만들고 있지만, 현대차그룹처럼 초고속 전기 모터를 쉽게 도입하지 못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현대차그룹은 EV6 GT 개발 과정에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 전기 모터를 완성했다. 우선 연구원들은 초고속 전기 모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베어링 케이지 형상 최적화와 영구자석 배치 및 회전자 코어 형상 최적화를 통해 *응력 분포를 개선했다. 또한, 모터 내부 베어링의 냉각을 오일 윤활 타입으로 설계해 냉각 효율을 높였다. 덕분에 21,000rpm이라는 초고속 대응이 가능한 모터 회전체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응력: 재료에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의 외력을 가했을 때, 그 크기에 대응해 재료 내에 생기는 저항력, 응력의 한도를 초과하면 재료가 파손된다.

EV6 GT를 포함해 E-GMP에 기반한 전용 전기차의 전기 모터는 냉각 효과가 보다 뛰어난 직접 오일 냉각 방식을 사용한다

전기 모터 고속화에 따라 발생할 수밖에 없는 모터 발열량에 대응하기 위해 손실 최소화 설계를 적용하면서 모터의 냉각 성능을 강화했다. 하우징에만 냉각수가 흐르는 기존 전기 모터의 수냉 방식은 모터 외부의 열만 식히고 가장 뜨거운 코일 및 모터 내부를 직접 냉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반면, E-GMP의 모터 시스템에는 냉각파이프를 통한 오일 직접 분사 방식으로 냉각 성능을 크게 개선했다. 특히, EV6 GT는 E-GMP의 기본 모터 냉각 구조와 더불어, 모터 코어 심부까지 오일을 직접 냉각할 수 있어 더욱 강화된 냉각 성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모터가 21,000rpm까지 회전하는 극한의 상황에서도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한 것이다.

초고속에서 비롯되는 소음과 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차그룹은 회전자 샤프트의 형상과 설계 방식을 최적화했다. 가장 큰 특징은 고속 회전에 대응하기 위해 회전자 샤프트를 2피스(Piece) 방식으로 설계해 기존 제품 대비 품질을 높였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모터 전반에 걸쳐 거동 안전화, 언밸런스량 최소화, 고주파수 영역 진동 및 초고속 플랫폼 소음 저감 설계를 반영했다.

E-GMP 구동 모터에 적용된 기술은 고속화 외에도 헤어핀 권선기술이 있다

EV6 GT를 비롯한 현대차그룹 전용 전기차 모델에는 모터 고속화 외에도 새로운 *헤어핀 권선 기술을 적용해 효율, 냉각 성능, 공간 혁신(패키지), 생산성 등을 개선했다. 일반적으로 헤어핀 권선은 고속 회전 시 교류(AC)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때문에 손실 발생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모터를 설계했으며, 이는 모터 성능 향상과 초고속 대응으로 이어졌다.

*헤어핀 권선 기술: 모터 내부의 코일 단면이 헤어핀의 형상을 닮은 직사각형인 구조. 기존 원형 코일 대비 코일을 좀 더 촘촘하게 감을 수 있고, 이를 통해 권선 저항을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제 주행에서 확인된 EV6 GT의 고성능

21,000rpm까지 회전하는 초고속 전기 모터를 바탕으로 한 EV6 GT의 고성능은 독일에서 진행된 미디어 행사를 통해 확인됐다

EV6 GT의 고성능과 전기 모터의 높은 회전수는 고유 기술이 있기에 가능했다. 무엇보다 인상적인 사실은 EV6 GT의 고성능이 실제 주행에서도 증명됐다는 데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4월 초 독일에서 진행된 EV6 GT 인플루언서 시승 행사다. 해당 행사는 EV6 GT의 여러 모습 중 고속 주행 능력을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그에 따라 많은 미디어들이 독일의 무제한 고속도로 아우토반에서 EV6 GT의 최고속도를 직접 확인했다.

시승 행사에 참여한 한 유튜브 채널은 200km/h가 넘는 고속 상황에서 EV6 GT의 모터 회전수와 배터리 상태를 보여줬다

그중 ‘Bjørn Nyland’라는 이름의 유튜브 채널은 전용 계측기를 사용해 EV6 GT의 주행 속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전기 모터의 회전수, 배터리의 출력과 온도 및 잔량 등을 보여줬다. 해당 영상(Kia EV6 GT driving at 263 km/h in Germany)에서는 GPS로 측정된 263km/h의 속도에서 EV6 GT의 전기 모터는 20,354rpm까지 회전했고, 이런 극한의 상황에서도 배터리는 평균 온도 28˚C라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전기차를 통해 친환경적인 특성과 고성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고 하는 현대차그룹의 노력은 계속될 예정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현대차그룹의 전용 전기차는 단순히 친환경적인 모습만을 보여주지 않는다. 오히려 기존의 그 어떤 자동차에서도 볼 수 없던, 차원이 다른 고성능과 주행 경험을 선사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다른 자동차 제조사들이 쉽게 완성하지 못하고 있는 초고속 전기 모터가 있다. 회전수 21,000rpm의 첨단 전기 모터를 통해 전기차의 친환경적인 모습과 고성능이라는 이율배반적인 특성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차그룹이 지닌 전기차 기술력은 지금 이 순간에도 쉬지 않고 진화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보다 친환경적이고 강력한 전기 모터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멈추지 않고 있으며, 그 결과는 향후 출시될 현대차그룹의 또 다른 전용 전기차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차, 초고속 전기 충전소 '이피트'에 차세대 플랫폼 적용

현대차, 초고속 전기 충전소 '이피트'에 차세대 플랫폼 적용

그룹은 전기차 충전 서비스 품질 제고 및 충전 사업자 육성을 위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을 개발해 초고속 충전소인 '이피트(E-pit)'에 적용하고 충전 사업자에 개방한다고 11일 밝혔다.

E-CSP가 적용된 E-pit는 ▲회원가입 및 차량등록 절차 간소화 ▲블루/기아 멤버스 포인트 전환 후 사용하던 방식을 실시간 차감 방식으로 개선 ▲충전소 정보 고도화 및 고장 최소화 등으로 안정적 충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향후에는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대 개편해 ▲제휴사별 충전회원카드가 없어도 E-pit 회원이면 제휴 충전소에서도 E-pit와 유사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 ▲유연한 요금제 ▲멤버십 패스 생성으로 충전 요금 추가 할인 혜택 ▲요금 지불 가능한 제휴 포인트 확대 등 편의를 증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은 이날 안성휴게소(서울방향)를 시작으로 오는 15일까지 순차적으로 E-pit 운영을 재개하며 E-CSP를 기존 충전소에 더해 신규 개소 예정인 충전소에도 적용해 프리미엄 충전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이달 내 제주도 지역 최초로 제주 새빌 이피트(E-pit)를 개소할 예정이며 올 상반기 중 ▲마포 ▲판교 ▲광명 등 주요 도심지에 E-pit를 여는 등 인구 50만명 이상 주요 도심지에 지속적으로 구축해 전기차 충전 생태계를 이끌어 갈 계획이다.초고속 플랫폼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핀다, 현대차·기아 특화 ‘커넥티드 카 1Q 오토론' 출시

데이터 기반 대출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 핀다가 현대차·기아, 하나은행과 손잡고 '커넥티드 카 1Q 오토론(가칭)' 상품을 출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10월, 4사가 체결한 '커넥티드 카 기반 금융상품 개발 업무협약'의 첫 번째 성과다. 핀다는 핀테크 플랫폼 업계 최초로 비대면 자동차금융 상품을 출시한다. 핀다는 기존 금융권에 있는 대출상품을 단순히 중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대차·기아와 하나은행의 가교역할을 수행하며 상품 개발에 적극 나섰다. 대출 서비스 이용 고객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차금융을 필요로 하는 고객의 니즈를 파악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안하고 차별화된 혜택을 고안한 것이다. ‘커넥티드 카 1Q 오토론’은 핀다에서만 받을 수 있는 현대차·기아의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전용상품이다. 현대차·기아 신차를 구매할 경우, 최대 120개월 분할상환 할 수 있고 최대 1.4%까지 금리 할인이 적용된다. 상환기간이 길어져도 금리에 변동이 없고, 신용대출이 아닌 담보대출이기 때문에 신용점수나 한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 수많은 고객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자동차 구입 자금 마련을 위한 대출 목적으로 핀다에 유입되는 고객이 많았다"며 "현대차·기아 신차를 구매하는 경우 향후 운전습관, 주행거리 등에 따라 금리 할인이 적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 기반의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도 기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유진 기자 [email protected]

핀다, 현대차·기아 특화 ‘커넥티드 카 1Q 오토론

'핀테크 업계 최초' 핀다, 현대·기아차 전용 대출상품 출시

핀다는 현대차·기아, 하나은행과 손잡고 '커넥티드 카 1Q 오토론(가칭)' 상품을 출시한다고 11일 밝혔다.이는 4개사가 지난해 10월 체결한 '커넥티드 카 기반 금융상품 개발 업무협약' 첫 번째 성과다. 핀다는 핀테크 플랫폼 업계 최초로 비대면 자동차금융 상품을 출시한다. 대출 서비스 이용 고객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차금융을 필요로 하는 고객 수요를 파악해 차별화된 혜택을 고안한 결과다.'커넥티드 카 1Q 오토론'은 핀다에서만 받을 수 있는 현대차·기아의 커넥티드 카 전용상품이다. 현대차·기아 신차를 구매할 경우, 최대 120개월 분할상환 할 수 있다. 최대 1.4% 금리 할인이 적용된다. 상환 기간이 길어져도 금리에 변동이 없고, 신용대출이 아닌 담보대출이기 때문에 신용점수나 한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핀다는 고객이 1분 내로 견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자경험(UX)과 사용자환경(UI)을 구현했다. 고객은 은행에 방문할 필요 없이 원하는 시간에 핀다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오토론 상품의 견적을 초고속 플랫폼 받아보고 대출 신청을 할 수 있다.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향후 운전 습관, 주행거리 등에 따라 금리 할인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기반의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도 기획 중"이라며 "앞으로도 더 좋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로봇개와 등장한 안철수-정의선 "미래 모빌리티가 과학기술국가 핵심"

안철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이 8일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를 방문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만나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대해 논의했다.안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은 대한민국을 먹여 살리고 있는 반도체와 스마트폰을 이을 국가 전략산업이자 과학기술중심국가 건설의 핵심이 될 수 있다"며 "앞으로도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을 가리지 않고 의미 있는 과학기술 현장이라면 초고속 플랫폼 어디든 가겠다"고 말했다.정 회장은 "자동차 산업은 반도체, AI, 빅데이터, 수소연료전지 등 첨단 미래기술과 융합하고 서비스산업과 결합해 새로운 모빌리티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앞으로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이 국가산업의 미래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현대차그룹은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강화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혁신 선도국가로 전환하는데 기여하겠다"고 했다.안 위원장의 이날 방문은 전기차·수소전기차·자율주행차, 로보틱스,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등 친환경차 및 미래 모빌리티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관련 산업 발전과 미래 인력 육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졌다.안 위원장은 간담회 전에 현대차 자율주행차인 쏠라티 로보셔틀을 탑승했다. 쏠라티 로보셔틀은 주행 상황을 인지·판단 후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핵심 기술을 적용한 차량이다. 쏠라티 로보셔틀 시승은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안 위원장의 각별한 관심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안 위원장은 로봇개 스팟의 에스코트를 받으며 행사장에 입장하기도 했다. 스팟은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인수한 로봇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이다. 지난해부터 자동차 생산현장 투입돼 안전관리 업무를 맡고 있으며 미국에선 화재 진압현장에서도 활약하고 있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